중요민속자료 제74호 양동사호당고택(良洞 沙湖堂 古宅)
종목 | 중요민속자료 제74호 |
---|---|
소재지 | 경북 경주시 강동면 양동리 217 |
소재지 | 강동면 |
지정일 | 1979.01.23 |
수량/면적 | 일곽 |
시대 | 조선시대 |
소유자 | 이백 |
관리자 | 이백 |
자료출처 및 참조 | 문화재청 |
양동 마을은 월성 손씨와 여강 이씨의 동족마을로, 넓은 안강평야 높고 낮은 터에 오랜 전통을 지닌 여러 집들을 잘 보존하고 있는 곳이다. 이 집은 사호당 이능승 선생이 살았던 집으로 사호당고택이라고도 부른다. 조선 헌종 6년(1840)에 지었으며 일반적인 ㅁ자 기본 평면을 가진 양반집이다. 크게 안채, 사랑채, 행랑채로 구성되어 있는데, ㄷ자형 안채에 一자형 행랑채가 놓여 ㅁ자형을 이루고, 一자형 사랑채가 안채와 연결되어 있다.
이 마을에서도 가장 일반적 반가형(班家形)인 ㅁ자형 기본 평면을 갖춘 집이다. 행랑채는 一자형인데 구조상 안채와 연접되지는 않고 있으므로 흔히 있는 튼ㅁ자 집이라고도 할 수 있다. 안채와 사랑채는 비교적 드높은 축단(築壇) 위에 세웠으며 상대적으로 부엌방과 행랑채는 용마루와 지붕고가 낮추어져 있다.
안방과 부엌과의 고패관계는 낙선당의 경우와 같으며 이 집의 부엌도 대략 3간이나 되는 크기이고 그 끝에 안사랑과 그에 연접한 작은 누마루를 둔 것은 이 마을 다른 집에서는 볼 수 없는 점이다. 안 ·바깥채의 여러 기둥 가운데 안대청(大廳)의 중심기둥과 사랑채 마루의 중심주, 그리고 전퇴(前退)의 모서리 기둥만을 굵은 두리기둥을 사용하여 안채, 사랑채의 중심부를 일단 돋보이게 꾸미고 있다. 중심주를 두리기둥으로 보강하는 것은 영남지방 큰집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격식이다.
건넌방을 대청 끝간 자리에 두었으므로 대청은 2간에 그치고 건넌방이 안마당 전면으로 직접 면하게 된 점도 특이한 구조이다. 따라서 건넌방 다음에 3간이 넘는 큰 마루방으로 꾸며서 건넌방에서 드나들도록 하였고, 사랑방쪽을 제외한 3면에 분합문 혹은 외짝문을 달았다. 이 마루방은 대청의 전면을 튼 것과 같이 어느 일면을 벽이 없이 트지 않고 벽체를 돌렸으므로 방으로서의 수용적 기능을 지니게 된다. 이렇게 건넌방의 위치를 마루방과 바꾸어 놓은 점은 일종의 특색이라 하겠다. 사랑방을 ㅁ자의 동변(東邊) 중심부에 두고 안마당 쪽으로 외여닫이를 달아 이 방에서 곧바로 안마당을 내려다 볼 수 있게 한 점도 흔한 방식이 아니다. 또 이 방의 남쪽에는 1간의 난간 있는 누마루를 두었고 지붕은 여기서 그치며 박공에 풍판(風板)을 붙였다. 동편에는 사랑대청과 그 건너에 작은사랑과 감실(龕室)방을 연이어 두었으며 작은사랑 앞에는 툇마루, 감실방 앞에는 1간의 제청(祭廳)마루를 두었다. 이렇게 사랑채에만도 4종의 기능이 다른 마루가 있고, 그들은 서로 연이어져 있어 이 집에서 안채 ·사랑채의 마루, 마루방의 변화있는 배치와 다양한 기능은 매우 특이한 격식을 보여준다.
안채는 납도리에 3량, 홑처마의 간소한 구조이며, 사랑채는 굴도리에 장혀받침의 3량 홑처마집이다. 두리기둥 머리에는 첨차와 소로 받침을 끼워서 보머리와 장혀를 받고 있다. 사랑채도 역시 3량 가구여서 대들보는 단량(單樑)이며 대들보위에 판대공(板台工)을 얹어 종도리와 장혀를 받쳤다. 판대공의 양변(兩邊) 조각은 용(龍)과 같은 동물의 상징으로 짐작된다. 사랑채 누마루 끝에는 행랑채 끝간인 대문채와의 사이에 작은 협문이 있어 대문간과 바로 연접케 되어 있어 또한 특이한 구조라 할만하다. 행랑채는 모두 7간이며 대문간에 연이어 2간이 헛간이고 한가운데가 디딜방아 있는 방앗간이다. 그 끝 3간은 가운데 간에만 출입문을 둔 간막이 없는 광이다. 집터 전면 언덕 아래에는 가랍집인 3간 초가 1동이 있다.
'한국의 문화,풍물,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요민속자료 제76호 양동근암고택(良洞 謹庵 古宅) (0) | 2014.02.03 |
---|---|
중요민속자료 제75호 양동상춘헌고택(良洞 賞春軒 古宅) (0) | 2014.02.03 |
중요민속자료 제73호 양동낙선당(良洞樂善堂) (0) | 2014.02.01 |
중요민속자료 제39호 고창신재효고택(高敞申在孝古宅) (0) | 2014.02.01 |
중요민속자료 제34호 경주김호장군고택(慶州 金虎將軍 古宅) (0) | 2014.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