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 국보 제180호 |
---|---|
명 칭 | 완당세한도(阮堂歲寒圖) |
분 류 | 유물 / 일반회화/ 산수화/ 산수화 |
수량/면적 | 1축 |
지정(등록)일 | 1974.12.31 |
소 재 지 | 서울 종로구 |
시 대 | 조선시대 |
소유자(소유단체) | 손창근 |
관리자(관리단체) | 손창근 |
추사 김정희(1786∼1856)는 실학자로 청나라 고증학의 영향을 받아 금석학을 연구하였으며 뛰어난 예술가로 추사체를 만들었고 문인화의 대가였다. 이 작품은 김정희의 대표작으로 가로 69.2㎝, 세로 23㎝의 크기이다. 이 그림은 그가 1844년 제주도에서 귀양살이를 하고 있을 때 그린 것으로 그림의 끝부분에는 자신이 직접 쓴 글이 있다. 이 글에서는 사제간의 의리를 잊지 않고 북경으로부터 귀한 책들을 구해다 준 제자 이상적의 인품을 소나무와 잣나무에 비유하며 답례로 그려 준 것임을 밝히고 있다. 한 채의 집을 중심으로 좌우에 소나무와 잣나무가 대칭을 이루고 있으며, 주위를 텅 빈 여백으로 처리하여 극도의 절제와 간략함을 보여주고 있다. 오른쪽 위에는 세한도라는 제목과 함께 ‘우선시상’, ‘완당’이라 적고 도장을 찍어 놓았다. 거칠고 메마른 붓질을 통하여 한 채의 집과 고목이 풍기는 스산한 분위기가 추운 겨울의 분위기를 맑고 청절하게 표현하고 있다. 마른 붓질과 묵의 농담, 간결한 구성 등은 지조 높은 작가의 내면세계를 보여 주고 있다. 인위적인 기술과 허식적인 기교주의에 반발하여 극도의 절제와 생략을 통해 문인화의 특징을 엿볼 수 있는 조선 후기 대표적인 문인화로 평가되고 있다. |
'한국의 국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보 제182호 구미 선산읍 금동여래입상(龜尾 善山邑 金銅如來立像) (0) | 2014.01.01 |
---|---|
국보 제181호 장양수 홍패(張良守 紅牌) (0) | 2014.01.01 |
국보 제179호 분청사기 박지연어문편병(粉靑沙器剝地蓮魚文扁甁) (0) | 2014.01.01 |
국보 제178호 분청사기 조화어문편병(粉靑沙器彫花魚文扁甁) (0) | 2014.01.01 |
국보 제177호 분청사기 인화문태호<내외호>(粉靑沙器印花文胎壺<內外壺>) (0) | 2014.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