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국보

국보 제179호 분청사기 박지연어문편병(粉靑沙器剝地蓮魚文扁甁)

문성식 2014. 1. 1. 19:56

 

 

종 목

 

국보  제179호

명 칭 분청사기박지연어문편병(粉靑沙器剝地蓮魚文扁甁)
분 류 유물 / 생활공예/ 토도자공예/ 분청
수량/면적 1개
지정(등록)일 1974.07.09
소 재 지 서울 관악구  신림11동 1707 호림박물관
시 대 조선시대
소유자(소유단체) 성보문화재단
관리자(관리단체) 호림박물관

 

조선 전기의 분청사기 편병으로 높이 22.5㎝, 아가리 지름 5.2㎝, 바닥 지름 8.6㎝의 크기이다.

몸통은 둥글고 양 면이 편평하며 아가리가 작다. 회갈색의 바탕흙 위에 백토로 분장하고 투명한 연갈색 유약를 두껍게 칠하였다. 아가리 밑의 어깨에는 도식화된 연꽃무늬 띠가 있고, 정면의 편평한 곳에는 연잎, 연꽃, 물고기무늬로 장식하였다.

측면에는 윗부분과 중간에 연꽃무늬를, 아랫부분에는 겹 연꽃무늬 띠를 새겼다. 백토로 분장한 뒤에 무늬 이외의 지면을 긁어내는 박지기법(剝地技法)을 주로 하였으며, 나머지는 선을 이용해 무늬를 나타내는 조화기법을 곁들였다. 흰색과 회갈색의 문양 대비가 돋보인다.

특히 앞면에 자연스럽게 묘사된 연잎과 여러개의 연꽃봉오리 사이에 있는 물고기무늬는 박지기법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 작품의 하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