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 경회루
경복궁은 대한민국 서울에 위치한 조선 왕조의 정궁이다.
건립역사
1394년 서울을 도읍으로 정하고 종묘와 사직 및 궁궐 등의 공사를 착공하여
1395년 9월 29일 총 755칸 규모의 경복궁을 완공하였다.
1395년 정도전이 새 궁궐과 주요 전각의 명칭을 지었다.
1411년 경복궁에 금천을 파도록 하였고,
1412년 경회루를 건축하였다.
1426년 경복궁의 각 문과 다리의 이름을 지었다.
1429년 사정전과 경회루의 중수를 시작으로 주요 전각을 새로 짓거나 중수하였다.
1592년 일본인들은 경복궁·창덕궁·창경궁의 궁궐들을 불태웠다.
1865년 음력 4월 2일 흥선대원군에 의해 재건되었다.
건축물
경복궁은 동서남북으로 4개의 대문들을 두고
남쪽으로 정전, 편전, 침전과 후원을, 동쪽으로 동궁과 자전,
서쪽으로 궐내각사와 경회루를 각각 배치하는 형태로 수십 개의 전각들이 건축되었다.
경회루
경복궁에 있는 누각으로, 국보 제224호이다.
광화문 경복궁의 남쪽에 위치한 정문이다. 왕의 큰 덕이 온 나라를 비춘다’는 의미로 광화문이라 이름 지었다. 광화문에는 총 3개의 문들이 있는데, 가운데 문은 왕이 다니는 문이고, 나머지 좌우의 문은 신하들이 다니던 문이었다. 광화문의 천장에는 주작의 그림이 그려져 있다. 건춘문 경복궁의 동쪽에 위치한 문으로, ‘동쪽은 봄에 해당한다’는 의미로 건춘문이라 이름하였다. 주로 왕족, 척신, 상궁이 드나들었던 문이었다. 건천문의 앞에는 커다란 은행나무 한 그루가 자리잡고 있으며, 건춘문의 천장에는 청룡이 그려져 있다. 영추문 경복궁의 서쪽에 위치한 문으로, ‘서쪽은 가을에 해당하여 가을을 맞이한다’는 의미로 영추문이라 이름하였다. 문 밖에는 명당수가 흐르는 개울이 있었다. 주로 일반 관료들이 드나들었다. 영추문의 천장에는 백호가 그려져 있다. 문 안에는 궐내 각사가, 문 밖에는 궁궐에 물자를 조달하는 관청이 자리잡고 있었다. 신무문 경복궁의 북쪽에 위치한 문으로, ‘북쪽을 관장하는 현무’에서 따와 신무문이라 이름하였다. 신무문의 천장에는 현무가 그려져 있다. 그 이름처럼 음기가 강하다 하여 평소에는 굳게 닫아 두었다. 흥례문 정문인 광화문과 근정전의 정문인 근정문 사이에 있는 중간문으로, 정면 3칸, 측면 2칸의 중층 목조 건물이다. 영제교 근정문 앞을 흐르는 금천에 설치된 다리로 풍수지리사상에 입각하여 정전 안이 지엄하고 신성한 곳임을 나타내기 위해 정전의 외당 앞에 명당수를 흐르게 하고 그 물위로 다리를 설치한 것이다. 영제교의 길이는 13.85m, 너비는 9.8m가량으로 비교적 넓으며 3칸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중앙이 3.4m, 그리고 양쪽이 각각 3.2m씩이다. 이 가운데가 바로 "어도"로서 왕의 어가가 지나는 길이다. 근정문 정전인 근정전의 정문으로 정면 3칸, 좌우로 각각 1칸씩의 옆문을 배치한 중층 구조로 되어 있다. 왕이 궁궐 밖으로 행차할 일이 없는 평소에는 문을 닫아두었고대신 관리들이 궁에 출입할 때는 좌우에 있는 일화문과 월화문을 이용하였는데, 음양으로 볼 때 태양을 뜻하는 문반 관료들은 동쪽의 일화문을, 그리고 달을 뜻하는 무반 관료들은 서쪽의 월화문을 통하여 출입하였다. 근정전 경복궁의 정전으로, 국보 제223호로 지정되었다. 사정전 왕이 나랏일을 보던 편전의 중심 건물로 좌우의 만춘전과 천추전과 함께 편전을 이루고 있다. 강녕전 왕이 거처하던 침전으로 정면 11칸, 측면 5칸 규모의 초익공 팔작 지붕이다. 왕의 침전이므로 용마루가 없으며, 전면에 퇴가 개방된 중앙 어칸은 마루로 좌우는 온돌방으로 꾸몄다. 강녕전 일곽은 1920년 창덕궁의 복원을 위해 헐려 없어진 것을 1995년에 복원하였다. 강녕전은 왕이 거처하던 곳인만큼 화재가 나지 않도록 신경을 썼는데, 굴뚝을 건물 가까이에 지을 수 없고 그렇다고 멀리 떨어진 곳에 굴뚝을 지을 수도 없었기에 강령전 뒷편의 교태전으로 가는 양의문 좌우에 굴뚝을 붙여 지었다. 수정전 돌로 높고 넓게 기단을 쌓고 그 위에 건물을 세운 것으로, 원래 이 자리엔 세종대왕 때 훈민정음 창제의 산실이었던 집현전이 있었다. 1456년 세조가 왕위에 오른 후 집현전을 폐지하였고, 건물은 1592년 임진왜란 때 불탄 후 버려져 있었다. 1867년 건물을 다시 짓고 이름을 수정전이라 하였다. 왕이 나랏일을 보던 편전으로 추정되는 이 건물은 1894년 제1차 갑오개혁 때 군국기무처로 사용되었고 이후 내각의 청사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교태전 왕비의 침전으로 강령전에서 양의문을 지나면 나타나는 정면 9칸 규모의 건물이다. 건물 뒷편에는 정원인 아미산이 위치하고 있는데 아미산을 볼 수 있도록 후면동쪽에 마루와 방으로 연결된 건순각을 배치하였다. 강령전과 마찬가지로 용마루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자경전 조선 후기 흥선 대원군이 경복궁 재건사업을 하던 1867년 대왕대비 조씨를 위하여 지은 전각으로, 두 번에 걸친 화재로 불탄 것을 1888년에 다시 지었다. 자경전의 담장은 벽돌로 모양을 내어 꾸몄는데 대왕대비 조씨를 위해 지었던 건물인 만큼 만(卍), 수(壽), 복(福), 강(康), 녕(寧) 등의 글자들과 소나무, 국화, 거북 등, 연꽃, 대나무, 모란, 국화 등의 대왕대비의 수복강녕을 기원하는 의미가 있는 문양들로 이루어져 있다. 건청궁 1873년에 지어졌으며, 1909년 이전에 철거되었다가 복원되어 2007년에 일반에 공개되었다. 집옥재 고종이 개인 서재 겸 전용 도서실로 사용하던 건물이다. 신무문의 동쪽에 있으며 정면 5칸, 측면 4칸 규모로 처마 서까래 위에 덧서까래를 달아 꾸민 겹처마에 건물의 측면 좌우 끝에 박공을 달아 벽면 상부가 삼각형으로 된 맞배집으로 도리가 7개로 된 지붕틀을 쓴 칠량 구조다. 경복궁의 다른 전각들과 달리 중국식 양식으로 지어졌다. 태원전 왕의 비빈들이 살던 곳으로, 태조 이성계의 어진(임금의 화상)이 봉안됐던 곳이자, 명성황후의 빈소로도 활용되었다. 자선당 세자와 세자 빈의 거처다. 입구를 바라봤을 때 오른쪽 방에 세자가 살았으며, 맞은 편인 왼쪽 방에 세자 빈이 살았다. 비현각 비현각은 크고 밝은 전각이란 뜻으로 세자가 스승을 모시고 학문을 연마하던 편전이다.
사진 / 청암 김재열님
출처 :미녹시기 원문보기▶ 글쓴이 :
'한국의 궁궐,왕릉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복궁 강녕전과 교태전 (0) | 2010.09.17 |
---|---|
경 희 궁 (0) | 2010.09.17 |
창덕궁 (0) | 2010.09.17 |
왕릉이야기. 제1대 태조-건원릉, 제릉, 정릉 (0) | 2010.08.26 |
왕릉이야기. 제2대 정종-후릉 (0) | 2010.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