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 , 술 이야기

도소주

문성식 2012. 3. 14. 06:08

도소주

옛 문헌 [고사촬요]의 방식으로 도소주를 재현하는 모습. [고사촬요]에는 ‘오두거피, 대황, 거목, 완계, 천초, 계심 등으로 술을 빚는다’고 기록되어 있다.

 

 

사악한 기운을 몰아내는 술

 

술이란 성인들에 한하여 즐길 수 있는 기호음료라는 것이 정설이다. 그런데 어린 아이에서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함께 마실 수 있는 술이 있다. 설날의 세시주(歲時酒)인 ‘도소주(屠蘇酒)’가 그것이다. 도소주는 설날 아침에 차례(茶禮)를 마치고 온 가족이 둘러앉아 함께 나눠 마시는 술로서, 세시주(歲時酒)로 분류된다. 술 이름을 풀이하자면 ‘잡을 도(屠)’, ‘사악한 기운 소/깨어날 소(蘇)’, ‘술 주(酒)’이니 ‘사악한 기운을 잡는 술’ 또는 ‘사악한 기운을 몰아내는 술’, ‘악귀를 물리치는 술’ 쯤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도소주는 설날의 제의풍속(祭儀風俗)과 벽사풍속이 결합한 민간풍속에서 발생된 술이라고 할 수 있다.

 

예부터 우리 조상들은 설날을 새 해 새 날의 새 시간을 맞이하는 엄숙한 시간으로, 매우 신성하게 맞으려 정성을 다했다. 설날의 어원을 ‘낯설다’에서 찾기도 하거니와, 이는 다가올 미래의 세계에 대한 불안감이 되려 겸허하고 순결한 마음자세를 갖게 했으며, 천지신명과 조상신에 대한 보은과 감사의 제사를 올리게 된 것이라는 풀이다. 한편, 옛날에는 과학과 의술, 교통이 발달하지 못했기 때문에 질병(전염병)에 대한 두려움과 공포가 가장 컸을 것이므로, 새 해 첫 날을 맞이하는 시간에 가족 모두가 일년 내내 무병하고 건강하게 지내고자 하는 바램을 갖게 되었고, 그 처방으로 도소주를 만들어 마시게 되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나이 어린 사람이 먼저, 나이 많은 사람이 늦게 마시는 술

 

동양문명의 발상지가 중국이라는 사실과 관련하여, 도소주도 중국 후한대 화타(華陀)라는 성의(聖医)가 처방했다는 설과, 당대(唐代)의 손사막(孫思邈)이 처방했다는 두 가지 설이 양대(梁代)의 종름(宗懍)이 쓴 [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에 전해오고 있는데, ‘광운(廣韻)’편에는 “도소주원단음가제암기(屠蘇酒元旦飮家際癌氣)”라 하여, ‘설날에 도소주를 마시면 질병을 물리칠 수 있다’고 하는 기록을 엿볼 수 있어, 도소주의 제조목적과 용도를 짐작할 수 있다. 이러한 기록을 근거로 한 풍속이 우리나라에 들어오게 된 것은 당나라와 교류가 깊었던 통일신라시대로 여겨지나,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다.

 

한편, [동문선(東文選)]에는 “정조설(正朝雪)”이란 시에 “제야에 내린 눈이 설날 아침에 이르러, 불어오는 봄바람에 어쩔 수 없이 녹네. 쌍궐(雙闕)의 의장기는 그림자도 희미한데, 오문교 五門橋에는 벌써 가죽신 소리가 들리네. 늘어선 정조 축하 의식 반열의 조회에 옷이야 젖어도, 춤추는 악공들의 소매에 어울리네. 금년 새해엔 곧 서기가 많아, 초주(椒酒)를 가득 따라 올리고 민요도 함께 바치네.” 라고 하여, 설날아침에 왕께 초주를 올려 하례하는 풍속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초주는 도소주와 같은 의미에서 마시는 술로, 우리의 도소음 풍속이 민간에서만 행해졌던 풍속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열양세시기]의 ‘정월설날조’ 기록에 김창협(金昌協)의 시를 인용하여 “고관집에서는 손님의 명함을 사흘 동안 받아들이는데, 푸른 잔의 도소주가 손님의 흥을 돋운다.”하였으며, ‘사민월령(四民月令)’에는 “술잔을 올리는 차례가 어린이부터 시작된다.”하여 연소자에게서 먼저 잔을 받아 마신다고 풀이하고 있다.

 

도소주 재현 모습. [동의보감]에는 “백미, 대황, 천초, 거목, 길경, 호장근, 오두거피를 주머니에 넣어서 12월 회일(晦日)에 우물에 넣어서 정월 초일 평명(平明)에 꺼내어 술에 넣고 잠깐 끓여서 동쪽으로 향하여 마시면 1년 내내 질병이 없다.”고 기록되어 있다. 사진 왼쪽은 도소주 약재를 우물에 담가 우리는 장면, 오른쪽은 끓여낸 도소주 모습이다.

 

 

그리고 조선조 문신 서거정(徐居正, 1420~1488)의 [사가시집(四佳詩集)]에 수록되어 있는 ‘원일(元日)’이라는 제하의 시(詩)에 “사십은 강사(强仕)인데, 이제 또 두 번의 봄을 더하였네. 도소주는 마땅히 남보다 뒤에 마시는데, 노병은 이미 남보다 앞서네. 신세는 무엇을 탐하는가? 생애는 감히 가난을 꺼리네. 근면은 1년의 일을 풍부히 하니, 매화와 버들 또한 마음을 아름답게 하네.”라고 하여, 반가와 사대부들 사이에서 설날 아침에 도소주를 마시는 풍속을 엿볼 수 있고, 또한 이 도소주가 나이 많은 사람이 늦게 마시는 술임을 일 수 있다.

 

그리고 후일에 이르러서는 ‘一人飮之一家無疫, 一家飮之一鄕無疫’이라 하여 “한 사람이 마심으로써 한 집안에 병이 없고, 한 집안이 마심으로써 온 고을에 질병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여기게 될 만큼 도소음의 풍속이 성형했다고 전한다.

 

우리나라의 문헌으로는 [동국세시기]를 비롯하여 [고사촬요], [동의보감], [임원경제지] 등에서 도소주에 대한 기록을 볼 수 있는데, [고사촬요]와 [임원경제지]에는 중국 기록의 풍속 그대로 ‘오두거피, 대황, 거목, 완계, 천초, 계심 등으로 술을 빚는다’고 하였으나, 현재 우리나라에서 쓰지 않는 일부 약재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중국 풍속의 답습을 엿볼 수 있다. 이후 조선조 중엽의 의학 관련 문헌인 [동의보감]에도 “백미, 대황, 천초, 거목, 길경, 호장근, 오두거피를 주머니에 넣어서 12월 회일(晦日)에 우물에 넣어서 정월 초일 평명(平明)에 꺼내어 술에 넣고 잠깐 끓여서 동쪽으로 향하여 마시면 1년 내내 질병이 없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이 풍속이 나중에는 보통의 술도 ‘도소주’라고 하여 온 가족이 모두 둘러앉아서 마시었는데, 특이한 것은 어린 사람부터 먼저 마시기 시작하여 차례로 나이가 많은 사람 순서로 마신다.”고 했다.

 

도소주에 들어가는 재료 10가지. 강한 약재가 들어가지만 맛은 순하다.

 

 

강한 약재와는 상반되는 순한 맛


도소주는 과연 어떤 술일까 궁금하던 차에 2004년 KBS와 함께 설특집 “설날 이야기”의 주제로 ‘도소주’의 재현과정과 시음 풍속을 방송키로 한 바 있었다. 도소주의 주재(主材)가 되는 순곡청주를 먼저 빚어놓고, 그 술이 익기를 기다려, 부재료인 오두거피를 비롯하여 대황, 거목, 길경, 호장근 등 10가지 약재를 베주머니에 넣고 자정에 동네 우물에 매달아 두었다가, 이튿날 새벽 4시경(平明)에 약재주머니를 건져 올리고, 빚어 둔 술에 넣어 잠깐 끓여내니 도소주가 완성되었다. 도소주가 맥이 끊긴 지 실로 몇 십 년 만에 재현되는 순간이었다. 제작진은 물론 동참했던 제자들까지 도소주 제조과정을 지켜보았던 만큼 호기심에서라도 반응이 좋으리란 기대를 가졌으나, 어느 누구도 그 맛을 음미하려 들지 않았다. 도소주에 들어간 약재 중에 사약에 사용되는 독성이 강한 약재들이 두 가지나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설명했기 때문이었다.

 

어쩔 수 없이 필자가 먼저 시음을 해 보기로 하였는데, 아무런 탈이 없다는 것을 알고 나서는 모두가 달려들어 한 방울도 남기지 않고 바닥을 보았던 기억은 지금 생각해도 재미있기만 하다. 실제로 도소주는 술의 향기가 너무나 좋고, 그 맛이 매우 부드러우며, 어린 아이가 마시기에도 거슬림이 없을 정도로 순하다. 때문에 집안 어른이 주전자를 들고 아이들에게 술 한잔을 따라주며 “일년 내내 건강해라” “무병하고 공부 잘해라”시며, 덕담을 나눠주시고는 가장 나중에 도소주를 마시는데, 아이들도 “할아버지 할머니 건강하세요”하고 인사를 드린다.

 

 

도소음 풍속에 담겨있는 여러 가지 의미

 

도소음 풍속에는 여러 의미가 담겨있음을 알 수 있다. 첫째로, 도소주의 제조과정에 들어가는 약재는 거의가 기운을 돋궈주는 자양강장제 또는 각기병, 피부병, 혈관계 질환을 다스리는 약재라는 사실이다. 그리고 오두와 대황을 제외한 여러 가지 약재 중 길경과 백출을 제외하고는 팥 등 거의가 붉은 색을 띤다는 사실이다. 붉은 색 약재의 선택은 바로 벽사풍속(辟邪風俗)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로, 오두거피, 대황, 거목(去目)에 대한 약재의 약성이나 형태의 파악이 안된 상태여서 단언할 수는 없지만, 이를 제외한 거피오두, 대황의 사용은 아주 흥미롭다. 오두나 대황은 다 같이 아주 독성이 강하여 전문가가 아니면 처방할 수 없는 약재들이라는 점에서, 전염병과 같은 무서운 질병에 대하여 이독치독(以毒治毒)의 효과를 얻고자 했다는 것으로 생각된다. 도소주는 대체로 길경, 육계, 방풍, 산초, 백출 등이 그 재료로 이용되며, 중국 풍속의 전래로 우리나라에서도 일찍부터 상류층에서 빚어 마시면서 일반에 퍼졌고, 고려시대 이후 매우 일반화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셋째, 약재를 설날 회일(晦日, 그믐)에 우물에 담근다고 하였는데, 우물을 온 마을사람들이 다 같이 사용하는 것으로, 약재를 우물에 담가두어 온 마을 사람들이 다 같이 나눠 마심으로써, 약재의 성분이 우물물에 침출되어 그 약성으로 인해 온 마을에 질병이 없기를 바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 그리고 우물은 동적(動的)으로 독에 길어 둔 정적(靜的)인 물에 반하여 양(陽)으로 비유되는 만큼, 양기로 받아들임으로써 사악한 기운인 음(陰)을 물리치고자 하였던 것이다. 또한 음력 섣달 회일은 저무는 해의 마지막 달 마지막 날로서 음일(陰日)을 가리키는데 비해, 정월 초일의 평명(平明)은 솟아 오르는 해(陽年)의 동이 트는 시간, 곧 양(陽)의 시간에 우물에 담가 둔 약재를 꺼냄으로써, 양의 기운을 얻고자 했던 것이다.

 

넷째, 도소주는 집안에서 가장 나이가 어린 사람부터 마시는 습속을 나타내고 있는데, 나이가 어린 아이일수록 질병이나 전염병에 약하기 때문에 ‘나이 많은 어른들의 배려’에서 비롯된 풍속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런 기회를 통해 어른들 앞에서 술 마시는 법과 예절을 가르치고자 했음을 엿볼 수 있다는 사실이다. 도소음(屠蘇飮)은 전염병과 같은 질병에 대한 두려움 못지않게 온 가족이 한자리에 모여 같은 시간에 그것도 나이가 어린 아이부터 마시는 것이 풍속이었고, 궁중에서는 왕이 신하들에게 하사하는 술로 한 자리에서 이루어지는 공음풍속이 있었으므로, 자연히 ‘술 마시는데 따르는 예절’을 가르치고자 하였음을 짐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음주로 인한 사회적 병폐가 수위를 넘어서고 있고, 음주연령층이 초중등학생까지 확대되었다는 뉴스가 심심치 않게 들려오고 있는 시점에서, 부모나 어른들 앞에서 술을 배우게 하려는 조상들의 세심한 배려가 새삼스럽기까지 하다. 안타깝게도 이러한 여러 의미와 상징이 담긴 도소음의 풍속을 민간에서 찾아보긴 어렵게 되었다. 이번 명절에는 온 가족이 모여 가족 건강 기원은 물론, 아이들 앞에서 술 마시는 법과 예절을 보여주며 우리 전통의 기운을 살려보는 것을 어떨까.

 

 

 

박록담
시인, 한국전통주연구소장, 숙대 전통문화예술대학원 교수.

'차 , 술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화주  (0) 2012.03.14
매화주  (0) 2012.03.14
대모와 전통주 감정  (0) 2012.03.14
술제떡  (0) 2012.03.14
반주  (0) 2012.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