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마다 독특한 문화적 양상을 띠는 누룩술
전통주의 양조에 사용되는 발효제는 누룩이다. 한자로는 ‘곡자(麯子)’, ‘국(麴)’, ‘국자(麴子)’로 표현하고 있는데,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중국과 일본 등 동양 3국은 공히 이 ‘누룩’으로 양조를 해왔다. 누룩은 춘추전국시대에 처음 등장하였다고 하는데, 한자의 구성으로 미루어 당시에도 밀(小麥)과 보리(大麥)를 이용하였던 것 같다. 우리나라는 누룩을 ‘곡자’라고 하여 떡 형태로 압착, 성형한 누룩을 주로 채택하여 왔다. 그 방법은 주로 밀이나 보리를 껍질째로 타개어 죽이나 물로 반죽하여 누룩틀을 이용해 디딘 후, 초재(草材)에 묻어 띄운다. 초재에 자연균 상태의 아스퍼질러스와 라이조프스 등 누룩곰팡이를 비롯하여 유산균, 효모균 등 다양한 발효균이 활착하여 발효에 관여하기 때문에 보다 복잡미묘한 맛과 향을 나타낸다.
누룩을 개발하여 동양권에서 처음으로 양조를 시작한 것으로 알려진 중국은, 지금까지도 우리와 유사한 막누룩이 주류(主流)를 이루지만, 기름진 음식과 추운 기후의 영향으로 도수 높은 술을 필요로 하게 되면서 증류주(백주/고량주)의 제조를 위한 누룩(大麯)과 황주 등의 발효주용 누룩(小麯)을 분리하여 발달시켰는데, 특히 정부 주도의 세계화를 위한 작업의 연장선상에서 우리나라나 일본과는 다른, 누룩의 차별화를 도모하고 있다.
중국은 누룩을 국자(麴子, 麯子)라고 한다. 간체자(簡體字)로는 곡자(曲子)라고 쓴다. 중국 본토에서 만든 술병을 보면 술 이름에 국(麴)은 없고 곡(曲)이 들어가 있다. 누룩은 술을 빚는데 있어 그만큼 중요하다는 뜻에서 ‘술의 뼈(酒之骨)’ 또는 ‘술의 혼(酒之魂)’이라고도 한다. 중국 누룩에는 대국(大麴), 소국(小麴), 부국(麩麴) 세 가지가 있는데, 대국은 모양이 벽돌만큼 크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원료로는 소맥, 대맥, 완두콩, 노란 콩 등의 곡물을 사용하며, 이것을 갈아 물을 부어 반죽하여 벽돌크기로 만든 다음, 석 달 가량 저장해 두면 미생물의 작용으로 발효가 되면서 누룩이 되는 것이다. 분주(汾酒) 등의 백주(白酒)는 이 대국을 사용한다.
소국은 크기가 대국보다 작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으로, 원료는 주로 쌀, 쌀겨 또는 소맥을 사용하며, 반죽할 때 약초를 넣으므로 약국(藥麴)이라고도 한다. 소흥주(紹興酒) 등의 황주(黃酒)는 소국으로 빚는다. 그러나 백주 중에도 소국으로 만드는 것도 있다. 부국은 밀기울로 만든 누룩이므로, 원가도 덜 먹히고 양식을 절약하는 장점이 있다. 금주국주(金州麴酒) 등이 이 부국으로 빚는 술이다.
반면, 삼국시대 때 백제로부터 막누룩으로 빚는 양조기술을 전해 받은 것이 일본 양조의 시작으로 알려져 왔다. 병곡에서 출발한 일본 누룩은 기후와 농작물의 영향으로 재료와 방법의 변화를 거쳐 코지로 발달하게 되었고, 이를 발효제로 하여 빚은 사케는 세계화에 접근하고 있다. 일본의 누룩은 ‘국(麴, koji)이라고 하는데, ‘흩임누룩’, ‘산국(散麴)’으로 분류한다. 우리나라에선 일본의 국(코지)을 ‘입국(粒麴)’이라고 한다. 일본의 국은 쪄서 멸균한 찐쌀(고두밥)에 종균(종국, 씨곰팡이)를 파종하여 단일균을 증식시킨 것으로, 양조장과 상품에 따라 각기 다른 균주를 배양한 누룩을 사용하기 때문에 일본주는 표준화 과학화되어 있으며, 비교적 주질이 일정하고 맛이 깨끗하다는 평을 듣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