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토릭 성지

서울 중 구***명동 성당(明洞聖堂)ㅡ사적 258호.천주교 서울대교구 주교좌 성당(主敎座聖堂)

문성식 2022. 2. 7. 11:22

명동성당(明洞聖堂)




사적 258호.천주교 서울대교구 주교좌 성당(主敎座聖堂)

명동성당 건립은 1883년 무렵 김 가밀로의 명의로 종현(鍾峴) 일대의 대지를 구입하며 시작된다. 당시의 교구장 블랑(Blanc) 주교는 우선 신학생 교육을 위한 종현서당을 설립, 운영하였으며, 이후 풍수지리설과 관련하여 한국 정부와 토지 분쟁이 있었으나, 1890년 이를 마무리지었다. 블랑 주교의 뒤를 이은 뮈텔(Mutel) 주교는 1892년 8월 5일 기공식을 갖고 한국 교회를 위해 일했던 주교와 선교사, 은인들의 명단을 머릿돌 밑에 묻고 머릿돌을 축성하여 고정시켰다. 성당의 설계와 공사의 감독은 코스트(Eugene Coste) 신부가 맡아 진행하였다. 그러나 1896년 2월 코스트 신부가 선종함에 따라 프와넬(Poisnel) 신부가 업무를 이어받아 성당 건축을 마무리지었다. 그리고 1898년 5월 29일, 성령 강림 대축일에 성당 축성식을 갖고 '원죄 없이 잉태되신 복되신 동정 마리아'께 봉헌하였다. 역사적으로는 한국 근대 건축사에서 가장 규모가 큰 첫 고딕 양식 건축물(사적 제258호)로 기록되어 있다. 성당의 건축 과정에서 많은 신자가 무료로 노력 봉사를 하였으며, 성당의 건축에 쓰인 벽돌은 청나라의 벽돌공을 데려다가 만들었다. 1945년 광복을 기점으로 하여 성당 명칭은 종현성당에서 명동성당으로 바뀌었다.


▲명동 대성당 예수상


▲명동성당 안내비


▲중앙문


▲중앙문, 최의순(1934년 - )

1985-1987년 제작(2009년 설치), 청동(bronze), 110x250x9cm, 명동대성당, 서울


명동대성당의 정문 부조에는 우리나라 신앙 선조들의 철저한 하느님 사랑과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이웃 사랑이 함께 묘사되어 있다. 왼쪽 부분의 상단부터 하단에는 최초로 미사봉헌을 하는 순교자 중국인 주문모 신부(1752-1801), 평북 의주의 국경 관문, 삿갓을 쓰고 복음 전파하는 성직자, 박해를 피해 떠나는 행렬, 고아를 돌보는 모습, 박해받던 신자들의 생활 수단이었던 옹기가 묘사되어 있다. 오른쪽 문에는 ‘주교요지’를 읽고 있는 명도회 초대회장이었던 순교자 정약종(1760-1801), 서학을 연구하던 학자들, 박해를 피해 떠나는 사람들, 노약자를 돕는 신자와 약탕관이 새겨져 있다


▲1898년 성당모습


▲1957년도 사진, 성모상이 전면에 있었다


▲성당 내부


▲감실


▲성모상과 대리석 제대


중앙 제대 뒷편에는 성모자상이 있고 아래로는 고 장발 화백이 그린 14 사도 성화가 있는데 14 사도란 12사도에 사도 바울과

사도 바나바(바르바나)이다.


▲주교단


▲왼쪽 벽에 있는 79위 복자화와 기념 제대


▲왼쪽 벽에 있는 79위 복자화


그림속에 등장하는 79위 복자들은 모두 1984년에 한국 천주교 전래 200주년을 기념하면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여의도 광장에서 시성되어 성인품에 올랐다. 그때 성인품에 오르신 분들은 모두 103위입니다.


▲제대 오른쪽 이벽 성화

▲이벽 성화

▲제대 오른쪽 김범우 성화

▲명례방 공동체 그림

1785년초 서울 명례방 김범우 토마스의 집 사랑 대청에서 정약전, 정약용, 정약종 형제와 이벽, 권일신, 이승훈 등이 모여 주일 집회를 갖고 있다. 경상 위에는 '천주실의'나 '칠극' 같은 천주교 교리서가 펼쳐져 있고, 십자가에 매달린 예수 수난상도 눈에 띈다.


▲2층 파이프 오르간

▲청동부조상 요한 바오로2세(1984년 임송자 작)


▲십자가의 길 1처 (최종태 작)


▲십자가의 길 2처



▲십자가의 길 14처


▲지하 소성당 제대


▲지하 소성당 유해실

▲지하 소성당 유해실

명동 성당이 준공된 후 그 지하 묘역에는 기해·병인박해 당시 믿음을 지킨 순교자들의 유해를 안치해 왔다. 1900년 9월 5일에는, 1899년에 왜고개(瓦峴, 현 용산 군종 교구청 인근)에서 발굴되어 용산 예수 성심 신학교에 안치되어 있던 베르뇌(Berneux, 張) 주교 등 7명의 순교자 유해와, 1882년에 남포 서들골(현 충남 보령군 미산면 평라리의 서짓골)에서 발굴되어 일본으로 보내졌다가 1894년에 용산 신학교로 옮겨진 성 다블뤼(Daveluy, 安) 주교 등 4명의 순교자 유해를 대성당 지하 묘지로 옮겨 안치하였다. 이어 1901년 11월 2일에는 파리 외방 전교회 선교사로 우리나라에 첫 입국해 기해년 1839년 9월 12일 순교한 앵베르 주교와 모방 신부, 샤스탕 신부가 새남터에서 군문 효수의 형을 받은 후 한강변 모래밭에 매장된것을 순교한지 약 20일 후 칠팔 명의 신자들이 죽음을 무릅쓰고 세 분의 유해를 거두어 지금의 서강대학교가 소재한 노고산에 4년간 매장했다가 그 후 유해는 1843년에 삼성산으로 이장됐다가 다시 1901년에 이곳 명동성당 지하 묘지로 모셔졌다. 1909년 5월 28일에는 남종삼(요한)과 최형(베드로)의 시신을 왜고개에서 발굴하여 지하 묘지로 옮겨 안치하였다. 이들 중 훗날 복자, 성인품에 오른 이들의 유해는 1967년에 절두산 순교 기념관으로 다시 옮겨지게 되었다. 그렇지만 대성당 지하 묘지는 성인들의 유해가 안치되었던 성스러운 곳이다. 또 지금까지 지하 묘지에 안치되어 있는 1866년 병인박해(丙寅迫害)의 순교자 푸르티에(Pourthie, 申) 신부, 프티니콜라(Petitnicolas, 朴) 신부의 유해가 순례객들을 맞이하고 있다.


▲지하 소성당 유해실 성인화

▲이승훈


▲성 바오로


▲성 베드로


▲성 요한


▲성 야보고


▲사형선고 받으심 조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