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 중요민속자료 제186호 |
---|---|
소재지 | 경남 함양군 지곡면 개평리 262-1 |
소재지 | 지곡면 |
지정일 | 1984.01.10 |
수량/면적 | 일곽 |
시대 | 조선시대 |
소유자 | 정병호 |
관리자 | 정병호 |
자료출처 및 참조 | 문화재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경상남도 함양군 지곡면 개평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주택.
자잘하면서도 널찍널찍한 돌로 포장한 골목길에 들어서서 한참을 가야 막다른 듯한 즈음에서 솟을대문을 본다.
세종(世宗)32년(年)(1450)에 태어나 성종조(成宗朝)에서 크게 활약하다가 연산군(燕山君)4년(年)(1493)에 무오사화(戊午士禍)에 연루(連累)되어 종성(鐘城)에 귀양갔다가 불귀(不歸)의 객(客)이된 일두(一蠹) 정여창선생댁(鄭汝昌先生宅) 대문이다.
이 집은 선생이 타계(他界)하신지 1세기(世紀) 이후에야 중건(重建)된 것이라 하나 원래의 집이 이 터에 있어서 500여년을 연기(延基)하여오는 명기(名基)의 터전으로 알려져 있다. 풍수지리설(風水地理說)을 운위(云謂)하는 인사(人士)는 누구나 한번쯤 이 터를 열거(列擧)한다. 이 집을 지정한 특색의 한가지가 된다.
또 하나의 특색은 솟을대문에 정려(旌閭)를 게시(揭示)한 문패(門牌)가 여러개 편액(扁額)처럼 걸렸다는 점이다. 보통은 일점(一點)이거나 한데 이문에는 4개의 패(牌)가 자랑스럽게 걸렸다.
주목되는 구조가 또 있다. 원치(園治)이다. 사랑채 앞마당끝 담장 아래에 석가산(石假山)의 원치(園治)가 있다. 보통은 후원(後園)에 주력(注力)하여서 앞마당에는 취평(取平)한 채로 반듯하게 두는 일이 고작이나 이 집에서는 사랑채의 내루(內樓)에서 내려다 보며 즐길 수 있게 조산(造山)을 꾸몄다.
산석(山石)을 떠다 삼봉형(三峰形)으로 주산(主山)을 높게, 좌우를 그보다 낮게 하되 각각의 높이로 하고 그 아래에 심곡(深谷)을 의태(擬態)하는 석곡(石谷)의 형성과 알맞은 나무의 배식(配植)으로 아름답게 꾸몄는데 엄격한 법도에 따르고 있고 고형(古形)을 남겼다. 지금은 나무들이 웃자랐고 후대에 적절하지 못한 나무들이 첨가되어서 옛 모습을 다 볼 수는 없게 되었다.
대문간을 들어서서 직행하면 안채로 들어가는 일각문이 있고 동북(東北)으로 비스듬히 가면 사랑채가 된다.
사랑채는 ㄱ자형(字形) 평면에 내루(內樓)가 전출(前出)한 구조이다. 문헌세가(文獻世家), 충효절의(忠孝節義), 백세청풍(百世淸風) 등을 써붙인 사랑채는 전퇴(前退)가 있으며 높직한 댓돌 위에 지그시 앉아있는 것 같이 보인다.
사랑채의 내루(內樓)는 구조가 간결하면서도 단아(端雅)하고 소박한, 난간과 추녀를 받치는 활주(活柱)를 세우되 세간(細竿)한 석주(石柱)로 석초(石礎)를 삼았다는 특색을 지녔으며 또 누하(樓下)의 주간(柱間)을 판벽(板壁)으로 막아 수장처(收藏處)로도 이용할 수 있게 배려하였다.
사랑채는 집주의 병호옹(炳鎬翁)의 고조부(高祖父)께서 중건(重建)하였다고 하는데 좌기(左箕) 이분은 서산군수(瑞山郡守)를 지냈다고 한다.
일각문을 들어서서 사랑채 측면을 통과하고 다시 문을 지나야 안채에 들어서게 되는데 원래 중문채와 문밖의 곳간채는 따로 있었다.
중문에 들어서면 일자형(一字形)의 큼직한 안채가 있다. 좌측(左側)에 아랫방채가 있고 안채의 뒤편으로 별당과 안사랑채가 있으며 그와 별도로 일곽(一廓)을 이룬 가묘(家廟)가 또 있다.
일곽(一廓)을 이룬 안채는 청하현감(淸河縣監)을 지낸 덕제선생(德濟先生)이 300여년 전에 중건하였다고 한다.
이 집엔 전기(前記)한데로 여러가지 특색이 있어 구조적인 특성을 보일뿐만 아니라 세간, 살림살이들이 비교적 예스러운데로 제자리에 보존되어 있어서 당시의 상황을 공부하는데는 다시 없을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소슬대문
사랑채내부와 앞퇴
박석깔린 고샅
소슬대문의 정려
'한국의 문화,풍물,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요민속자료 제190호 논산명재고택(論山 明齋 古宅) (0) | 2015.05.29 |
---|---|
중요민속자료 제189호 경주양동마을(慶州良洞마을) (0) | 2015.05.29 |
중요민속자료 제185호 법흥동고성이씨탑동파종택(法興洞固城李氏塔洞派宗宅) (0) | 2015.05.29 |
중요민속자료 제184호 안동 오류헌(安東 五柳軒) (0) | 2015.05.29 |
중요민속자료 제183호 안동권씨능동재사(安東權氏陵洞齋舍) (0) | 2015.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