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교역자의 영성이 교회성장에 미치는 영향16.

문성식 2013. 1. 19. 17:40

 

교역자의 영성이 교회성장에 미치는 영향16.

실천신학 전공 김 성 식

 

V. 결 론

사전적으로 “종교적인 가치에 붙잡혀 사는 영적인 삶의 상태”라는 의미를 갖는 영성(Spirituality)의 기독교적 특성은 인간 내부에서 생성되는 어떤 성품이 아니라 성령의 역사로 이루어지는 하나님의 형상이요, 하나님과의 인격적인 교제의 과정이요,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과 삶을 닮아가는 과정이라고 정의 할 수 있다.


구약은 인간을 하나님과 이웃과 피조세계와의 관계속에 놓여진 영적 존재로 이해한다. 하나님은 인간에게 부여하신 영(ruah)은 인간생명의 본질로서 창조의 시초에 뿐만 아니라 인간의 삶에 계속적으로 활동한다는 것이다. 신약의 영성은 예수 그리스도의 하나님 체험 그리고 제자들의 부활체험과 초대교회의 성령강림 사건에 근거한다. 예수의 수세사건에서 하나님의 영은 예수안에 강림, 내주하였다. 그의 말씀과 행위는 하나님과의 영적교제의 외적표현이며, 그의 기도는 그 내면생활이다. 예수의 공생애와 죽음, 부활은 그와같은 영적교제에서 비롯된 역동적 활동으로서 그 힘은 부활을 체험한 제자들과 초대교회에도 이어졌다.
구약의 돌연하고 일시적인 영체험은 초기 기독교에서도 계속되었다. 지극히 영적인 사람이었던 바울은 ‘교제의 신비’(Communio Mystica)라고 불리우는 신비주의적인 영성을 보여준다. 교제의 신비는 예수 그리스도를 머리로 한 연합안에서 그에 대한 복종 및 그와의 교제의 관계에서 사는 것을 말한다. 신약의 영성은 그것이 단지 내적인 느낌만이 아니라 하나님께 복종케하는 능력이라는 사실을 말해준다.


초대교회는 플라톤주의와 영리주의의 비 기독교적인 영성의 영향으로부터 기독교적 영성을 지키려고 노력하였다. 초대교회에서 교회의 세속화에 저항하기 위하여 일어났으나 중세에 이르러 도피적, 은둔적 정신운동이라고 비판 받았던 수도원 운동은 은둔, 독거, 묵상, 노동, 검소, 청빈, 극빈, 성경연구, 기도, 명상, 침묵, 예배등을 통하여 영성훈련을 쌓았고 그 활동은 이단 회개, 성직자 각성, 적극 선교, 교육과 성서번역 사업등에 큰 역할을 하였다.

개혁자들의 영성의 중심은 성서였다. 루터는 영은 말씀을 통해서 활동하고 말씀은 영의 활동으로 의미를 지닌다고 하여 신앙의 주,객관적인 양면을 역동적으로 조화시켰고, 칼빈은 성령에 의한 신생과 성화를 통한 구원을 영성의 목표로 삼았다.
이러한 개혁자들의 영성을 제대로 계승하지 못한 개신교회는 개인의 구원과 성결에 중점을 두는 내향적 운동과 사회의 구조악 개선과 성결에 중점을 두는 외향적 운동이 극단으로 대립하게 되었다. 그러나 개신교 영성의 주조는 여전히 성경중심, 성령의존의 개혁자적 양상을 띠고 있다.


오늘날 목회현장에서 올바른 영성에 대한 이해와 정립이 매우 시급한 때이다. 뿐만 아니라 교역자의 영성은 교회성장에 지대한 역할을 한다고 본다. 교역자는 소명의식이 투철해야 할 뿐만 아니라 성경에 근거한 영적체험과 말씀을 순종하는 가운데 체험하는 하나님의 능력이 무엇보다 우선되야 한다. 그리고 목회현장에서 예배를 통하여, 치유와 성만찬을 통하여 적용되는 영성은 예수 그리스도의 몸된 교회가 질적, 양적으로 조화를 이루어 성장하는데 크나 큰 역할을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성생활이란 추상적인 종교적 신앙생활이라기 보다는 하나님의 형상을 지닌 인간으로써의 수임된 과제를 수행하여 너와 내가 공존하는 참된 인간화된 삶 자체이다. 단지 선한 인간성의 함양이 아니라 하나님을 아는 과정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그러기 위하여 꾸준히 자기를 부인하고 자기 십자가를 지고 주님을 따르는 삶을 사는 것이 참된 영성적인 삶이라 할 수 있다.
특히 교역자의 영성은 성도들을 능력있는 기독교인으로 만드는데 지대한 역할을 하는 일이되며, 나아가 참된 교회의 성장을 이룰 수 있는 한 규범이 될 수 있다. 한마디로 교회의 성장은 교역자의 영성과 영력에 좌우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 참 고 문 헌

1. 외 국 서 적
Auman, Jordan. Christian Sprituality, East & West Chicago : Priory Press, Co., 1968, Spirtual Thelolgy London : Sheed and Ward, 1984.
Bouyer, Lowis. A History of Christian Spirituality, Vol I : The Sjpirituality of the New Testament and the Fathers, Sonden and Tunbridge Wells : Burns and Oates, 1963.
Boyer, L. B. et. al. History of Christian Spirituslity, 3 Vols, N. Y. : Seabury Press, 1977.
Douglas Stere. John Wesley and Modern Religion, Nashville : Cokesbury Press, 1936.
Holms, Urban T. Sprituality for ministry, SanFrancisco : Harper & Row, 1982.
Holms, III, Urban T. A History of Christian Spirituality, N. Y. : The Seabury Press, 1980.
Massey H, Shepherd, Jr. The Worship of the church, The Seabury Press, New York, 1952.
Martin E. Marty and Dean G. Peerman. A Hand of Christian Theologians, Nashiv : Abingdon Press, 1984.
Merton Thomas. Spiritusl Direction and Meditation, Minesota : The Liturgical Press, 1960.
Ronald Lawler. The Teaching of Christ, Huntington, Ind : Our Sanday Vister, 1975.
Schaeffer, F. A. True Spirituality, Wheaton, III. : Tynclale Horse, 1971.
Tanquerey, Adolphe. The Spiritual Life, tr. H. Branderes 2d ed. Tourna : Desclee, 1951.

2. 번 역 서 적
Aumann, Jordan. 「영성신학」 이홍근 역, 왜관 : 분도출판사, 1987.
Cannon, William. 「웨슬레 신학」 전종옥 역, 서울 : 총리원 교육국, 1962.
Come, Anold B. 「인간의 영과 성령」 김성민 역, 서울 : 대한 기독교 출판사, 1985.
Cully, Iris V. 「영적성장을 위한 교육」 오성춘, 이기문, 류영모 역, 서울 : 대한 예수교 장로회 총회교육부, 1986.
Foster, J. Richard. 「영적 성장을 위한 제자훈련」 서울 : 보이스사, 1985.
Hendry, George S. 「기독교 신학과 성령」 황승룡 역, 서울 : 복음 문화사, 1984.
Holms, Urban. 「목회와 영성」 김외식 역, 서울 : 대한 기독교서회, 1988.
Hoper, P. J. 「현대 영성생활」 마리아회 역, 대구 : 계성 출판사, 1984.
라토레스, 케니스. 「기독교사」 유두혁 역, 서울 : 교문사, 1980.
Lewis Sperry Chafer. 「신령한 사람」 이지만 역, 서울 : 생명의 말씀사, 1985.
Macquarrie, John. 「영성에의 길」 강기천 역, 서울 : 전망사, 1986.
Murrary, Andrew. 「영적 생활」 김양순 역, 서울 : 생명의 말씀사, 1982.
Nelson S. T. Thayer. 「영성과 목회」 백상열 역, 서울 : 대한 기독교 출판사, 1989.
니이젤, 빌헬름. 「칼빈의 신학」 이종성 역, 서울 : 기독교서회, 1973.
오덴, C. 토마스. 「목회신학」 오성춘 역, 서울 : 대한예수교 장로회 총회 출판부, 1987.
Rahner, Karl. 「교회의 미래상」 정한교 역, 서울 : 분도 출판사, 1981.
Rahner, Karl. 「영성신학 논총」 정대식 역, 서울 : 카톨릭 출판사, 1983.
Rice, R. John. 「능력있는 기도」 유용규 역, 서울 : 생명의 말씀사, 1980.
Schreyer, G. M. 「신학과 기독교 교육」 채 위 역, 서울 : 기독교서회, 1979.
Thurneysen, Eduard. 「목회학 원론」 박근원 역, 서울 : 성서 교재 간행사, 1978.
Tillich, P. 「그리스도교 사상사」 송기득 역, 서울 : 한국 신학 연구소. 1983.
Wagner C. Peter. 「성령의 은사와 교회성장」 권달천 역, 서울 : 생명의 말씀사, 1986.
Walvoord, J. F. 「성령」 이동원 역, 서울 : 생명의 말씀사, 1986.
Waterink, Jan. 「기독교 교육 원론」 김성수 공역, 서울 : 소망사, 1982.
Wolff, H. W. 「구약성서의 인간학」 문희석 역, 서울 : 분도출판사, 1976.

3. 국 내 서 적
김경재, 「영성신학 서설」 서울 : 대한 기독교 출판사, 1985.
민경배, 「영성의 역사적 뿌리」 서울 : 연세대 출판부, 1985.
박근원, 「리마 예식서」 서울 : 한국 기독교 교회 협의회, 1987.
박대인, 「초대와 중세의 영성생활」 서울 : 연대대학교 출판부, 1985.
송길원, 「지도자 지침서」 서울 : 양문 출판사, 1981.
송흥국, 「웨슬레 신학」 서울 : 대한 기독교 출판사, 1980.
엄두섭, 「수도생활의 향기」 서울 : 보이스사, 1979.
엄세천, 「영성 생활」 서울 : 한국 기독교 연수원 출판부, 1986.
오성춘, 「영성과 목회」 서울 : 대한 예장 총회출판부, 1988.
______, 「광야의 식탁」 1권, 서울 : 홍성사, 1985.
이영헌, 「교회의 발자취」 서울 : 총회교육부, 1978.
이주영, 「현대 목회학」 서울 : 성광 문화사, 1987.
정대식, 「영성생활」 서울 : 크리스챤 출판사, 1988.
지원용, 「루터와 종교개혁」 서울 : 컨콜디아사, 1965.
황의영, 「목회 상담의 원리」 서울 : 생명의 말씀사, 1983.

4. 정 기 간 행 물
강근환, “종교개혁시대의 영성과 기독교 영성”, 「목회의 전문화와 영성」 연새대 대학원 목회자 세미나, 1985.
김외식, “영성신학의 일반적 이해”, 기독교 사상, 1986. 8.
______, “기독교 영성의 바른 이해”, 신앙계, 1986. 4.
박근원, “신학교육과 영성훈련”, 기독교 사상, 제 27권 3호, 1983. 3.
______, “제 3세계의 교회와 영성”, 기독교 사상, 1987. 1.
문상희, “예수의 신앙체험과 초대교회의 부활체험”, 「목회의 전문화와 영성」, 연세대 대학원 목회자 세미나, 1984.
민영진, “구약의 영 이해”, 「목회의 전문화와 영성」, 연세대 대학원 목회자 세미나, 1985.
박병식, “목회자의 현장과 영성”, 풀빛 목회, 1986. 12.
정철범, “영성신학의 예전적 적용”, 기독교 사상, 1986. 4.
천병욱, “교회행정과 영성”, 기독교 사상, 1987. 2.
______, “신학교육과 영성훈련”, 선교와 신학, 1989.
홍철화, “영성의 성경적 근거”, 기독교 교육 통권 229호, 1987. 2.
황화자, “기독교 영성의 이론과 실재”, 기독교 교육 통권 22호, 1987.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