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지 : | 영주시 이산면 |
---|---|
원문참조 및 출처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전통사찰종합정보 |
사진출처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 석포리에 있는 절. 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고운사(孤雲寺)의 말사이다.
〔창건 및 연혁〕
신라 때 의상(義湘)이 창건하였다. 조선 전기까지의 자세한 연혁은 알 수 없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재난을 당한 뒤 사세가 급격히 기울어 겨우 명맥만 이어 왔다.
그러나 1799년(정조 23)에 편찬된 ≪범우고 梵宇攷≫에는 ‘지금은 폐사되었다’고 나와 있다. 1945년 8.15 뒤 초암 상호(草庵 祥鎬)가 중건하였고, 1950년 6.25를 피하여 정암산 법천사(法泉寺)의 아미타여래좌상을 이 절로 옮겨와 봉안하였다.
〔당우 및 문화재〕
건물로는 법당과 약사전, 설선당, 종각, 환희전 등이 있다. 유물로는 목조아미타불좌상 및 복장 유물, 보물 제681호인 흑석사석조여래좌상이 있다. 목조아미타불좌상은 효령대군이 권선하여 세조 등 왕실에서 법천사에 봉안하였던 것으로 1458년(세조 4)에 조성되었으며, 조선 전기의 대표적 목조 불상이다.
이 불상의 복장에서 나온 유물로는 금동사리합과 사리 등이 있다. 한편, 석조여래좌상은 9세기 통일신라 때의 것이나 불상과 광배, 대좌가 분리된 채 서로 떨어져 놓여 있다.
〔사찰풍경〕
흑석사는 통일신라시대에 창건한 고찰로, 의상 대사나 혹은 그 제자들에 의해 창건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기록이 전하지 않아서 자세한 역사는 알 수 없지만, 지금 마애불 앞에 봉안된 여래좌상이 통일신라시대에 조성된 것이므로 흑석사 연혁의 중요한 자료가 된다. 또 마애여래삼존불좌상은 고려시대 후기에 조성된 것이므로 고려시대까지의 역사는 이 두 유물로 미루어 짐작해 볼 수 있다.
그 뒤의 역사 역시 잘 알 수 없지만, 면면히 법등을 이어왔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폐찰로 내려오다가 1945년 초암사 재목을 옮겨와 중창되었다.
지금은 온양민속박물관으로 이안된 조선시대 초기에 조성한 목조 여래좌상은 1945년, 혹은 1950년 6.25전쟁 무렵에 이곳으로 옮겨져 근래까지 봉안되었다. 흑석사란 이름의 유래는 절 가까운 마을 이름을 ‘흑석’이라 부른데서 비롯된다고 한다. 마을 뒤쪽 산자락에 검은 빛깔의 커다란 바위가 있는 데서 유래하였다고 한다.
〔교통정보〕
1) 자가운전
서울 방면에서 간다면 경부고속도로 신갈 나들목에서 영동고속도로로 들어간다. 남원주 나들목으로 나와 중앙고속도로로 다시 바꿔 탄 다음 풍기 나들목으로 나와 영주 이산 방면으로 향하면 흑석사 안내판이 나온다.
2) 대중교통
영주시내에서 이산면 석포리 방면 버스를 이용하면 된다. 하루에 14회 운행하며, 약 20분 정도 걸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