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 국보 제214호 |
---|---|
명 칭 | 흥왕사명 청동 은입사 향완(興王寺銘 靑銅銀入絲香?) |
분 류 | 유물 / 불교공예/ 공양구/ 공양구 |
수량/면적 | 1점 |
지정(등록)일 | 1984.08.06 |
소 재 지 | 서울 용산구 한남동 747-18 삼성미술관 리움 |
시 대 | 고려시대 |
소유자(소유단체) | 삼성문화재단 |
관리자(관리단체) | 삼성미술관 리움 |
향로란 절에서 마음의 때를 씻는다는 의미를 가지는 향을 피우는데 사용하는 도구이다. 이 향로는 높이 40.1㎝, 입 지름 30㎝의 크기로 받침, 몸체, 입 3부분으로 되어있다. 입은 수평으로 넓게 퍼진 테를 가진 전이 있으며, 그 전을 구슬 무늬로 장식하고 연꽃과 덩굴 무늬를 새기고 은을 입혔다. 몸체에는 대칭되는 위치에 꽃으로 창을 만들고 그 안에 용과 봉황을 세밀하게 은입사하였다. 남은 공간에는 갈대와 연꽃을 새기고 위에는 기러기를 새기고, 밑에 오리를 새겨 은을 입혔다. 나팔형 받침은 위의 가장자리를 쌍선으로 굵게 표시하고, 위로 오르면서 덩굴무늬를, 하단에는 풀무늬를, 굽에는 꽃무늬를 은입사하였다. 은입사 문양은 모두 뛰어난 솜씨를 보여줄 뿐아니라 회화적 가치도 아주 높다. 받침 굽에는 34자의 글씨가 남아 있어, 이 향로가 충렬왕 15년(1289)에 제작되어 개풍군 흥왕사에 있었던 것임을 알려준다. 세련된 은입사 기법과 연대를 알 수 있다는 점과 잘 사용하지 않던 용과 봉황을 문양으로 사용한 점은 이 향로의 가치를 높여 준다. |
'한국의 국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보 제216호 인왕제색도(仁王霽色圖) (0) | 2014.01.03 |
---|---|
국보 제215호 감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 정원본 권31(紺紙銀泥大方廣佛華嚴經 貞元本 卷三十一) (0) | 2014.01.03 |
국보 제213호 금동탑(金銅塔) (0) | 2014.01.03 |
국보 제212호 대불정여래밀인수증료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언해)(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諺解)) (0) | 2014.01.03 |
국보 제211호 백지묵서묘법연화경(白紙墨書妙法蓮華經) (0) | 2014.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