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 국보 제100호 |
---|---|
명 칭 | 개성 남계원지 칠층석탑(開城 南溪院址 七層石塔) |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
수량/면적 | 1기 |
지정(등록)일 | 1962.12.20 |
소 재 지 | 서울 용산구 용산동 6가 168-6 국립중앙박물관 |
시 대 | 고려시대 |
소유자(소유단체) | 국유 |
관리자(관리단체) | 국립중앙박물관 |
경기도 개성 부근의 남계원터에 남아 있던 탑으로, 예전에는 이 터가 개국사(開國寺)의 옛터로 알려져 개국사탑으로 불려져 왔으나, 나중에 남계원의 터임이 밝혀져 탑의 이름도 남계원칠층석탑으로 고쳐지게 되었다. 1915년에 탑의 기단부(基壇部)를 제외한 탑신부(塔身部)만 경복궁으로 이전하였다. 이후 원 위치에 대한 조사 결과 2층으로 구성된 기단이 출토되어 추가 이전해 석탑 옆에 놓았다가 다시 복원해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옮겨 세워져있다.
탑은 2단의 기단에 7층의 탑신을 세운 모습으로, 얼핏 보면 신라 석탑의 전형을 따르고 있는 듯하나 세부적으로는 양식상의 변화를 보여준다. 먼저 기단은 신라의 일반형 석탑에 비해 아래층 기단이 훨씬 높아졌고, 상대적으로 2층 기단이 약간 낮아져 있다. 탑신부는 몸돌과 지붕돌을 각각 1개의 돌로 조성하였으며, 몸돌의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의 조각을 새겨 두었다. 지붕돌은 두툼해 보이는 처마가 밋밋한 곡선을 그리다 네 귀퉁이에서 심하게 들려져 고려시대 석탑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으며, 밑면에는 3단씩의 받침이 얕게 새겨져 있다. 탑의 머리장식으로는 노반과 복발만이 하나의 돌에 조각되어 남아있다. 이 탑은 고려 중기 이전에 세워졌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탑 전체에 흐르는 웅건한 기풍과 정제된 수법은 신라탑의 영향을 많이 받았던 고려시대 석탑의 특색을 잘 보여준다. 1915년 탑을 옮겨 세울 때, 탑신부에서 두루마리 7개의 『감지은니묘법연화경』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고려 충렬왕 9년(1283)에 탑 속에 넣은 불교경전으로, 이 때 탑을 보수했음을 알 수 있다. 이 탑은 원래 경기도< 京畿道 > 개성< 開城 > 부근 남계원에 있던것을 1915년에 이곳으로 옮긴 것이다. 웅건< 雄健 >한 기풍과 정제< 整齊 >한 수법 등 신라탑< 新羅塔 >의 영향을 많이 받은 고려< 高麗 > 석탑< 石塔 >의 특색을 잘 나타내고 있다. 현재 이 탑의 기단부< 基壇部 >는 탑신< 塔身 >과 따로 떨어져 있어서 완전한 모습은 잃었다고 하겠다. 이 탑에서 은니사경< 銀泥寫經 > 7축< 七軸 >이 발견되어 국립중앙박물관< 國立中央博物館 >에 소장< 所藏 >되어 있는데 고려 충렬왕< 忠烈王 > 9년(1283)에 봉안< 奉安 >한 것으로 추정된다. |
'한국의 국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보 제102호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忠州 淨土寺址 弘法國師塔) (0) | 2014.01.01 |
---|---|
국보 제101호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原州 法泉寺址 智光國師塔) (0) | 2014.01.01 |
국보 제99호 김천 갈항사지 동ㆍ서 삼층석탑(金泉 葛項寺址 東ㆍ西 三層石塔) (0) | 2014.01.01 |
국보 제98호 청자상감모란문항(靑磁象嵌牡丹文缸) (0) | 2014.01.01 |
국보 제97호 청자음각 연화당초문 매병(靑磁陰刻蓮花唐草文梅甁) (0) | 2014.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