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가지 사랑의 언어 1 - 게리 채프먼
목 차
1. 결혼한 후에 사랑은 어떻게 되는가
2. 사랑의 그릇
3. 사랑에 빠진다?
4. 제1의 사랑의 언어-인정하는 말
5. 제2의 사랑의 언어-함께하는 시간
6. 제3의 사랑의 언어-선물
7.제4의 사랑의 언어-봉사
8. 제5의 사랑의 언어-육체적인 접촉
9. 제1의 사랑의 언어를 발견하는 방법
10. 사랑은 선택이다
11. 사랑은 변화를 가져온다
12. 미운 사람 사랑하기
13. 아이들과 사랑의 언어
14. 맺는 말
지은이 소개
게리 채프먼은 교회 교육은 물론, 활발하게 부부와 가정 생활에 관한 상담과
강의를 하고 있으며, 저서로는
Toward a Growing Marriage, Hope for the Separated, Buiding Relationships 등이 있다.
1 결혼한 후에 사랑은 어떻게 되는가
20년간 결혼 생활 상담을 한 후 나는 다섯 가지의 기본적인 사랑의 언어, 즉
사람들이 사랑을 구사하고 이해하는 방법에는 다섯 가지가 있다고 결론을 내렸다.
유년기 발달에 있어서 모든 아이들이 자기 나름대로의
독특한 감정 패턴을 발전시킨다는 것을 우리는 익히 알고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아이들은 건전한 자존감을 발전시키는 반면,
어떤 아이들은 낮은 자존감을 발전시킨다.
어떤 아이들은 안전하다는 느낌 속에서 성장하나,
어떤 아이들은 불안한 감정 패턴 속에서 자란다.
어떤 아이들은 사랑받고, 풍족하고, 칭찬받으면서 성장하지만,
어떤 아이들은 사랑받지 못하고, 부족하고, 칭찬받지 못하면서 성장한다.
부모나 주변 사람들로부터 사랑을 받고 있다고 느끼는 아이들은
그들 부모나 다른 사람들이 그들에게 표현했던 독특한
심리학적인 기질과 방법에 근거한 제1의 사랑의 언어를 발달시킬 것이다.
그들은 제1의 사랑의 언어를 구사하고 이해할 것이다.
나중에 제2의 언어도 배우긴 하겠지만
제1의 사랑의 언어가 그들에겐 언제나 가장 편리할 것이다.
부모나 주변 사람들로부터 사랑받고 있다고 느끼지 못하는 아이들도
제1의 사랑의 언어를 발달시킨다.
그러나 이것은 어떤 아이들이 엉성한 문법이나
미숙한 어휘를 배우는 것과 같이 어느 정도 왜곡될 것이다.
빈약한 언어 체계를 가지고 있다고 해서
그들이 훌륭하게 의사를 소통할 수 없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긍정적인 모델을 가지고 있는 이들보다
더 열심히 노력을 해야만 의사 소통을 잘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감성적 사랑에 미숙한 감각을 갖고 자란 아이들도
사랑받고 있다고 느낄 수 있으며 사랑을 표현할 수도 있긴 하나,
건전하고 사랑받는 분위기 속에서 자란 아이들보다 더 열심히 노력해야 할 것이다.
제1의 사랑의 언어를 똑같이 공유하고 있는 남편과 아내는 거의 없다.
우리는 자신의 제1의 사랑의 언어로 표현하려고 하나
배우자가 우리가 표현하려는 것을 이해하지 못할 때 혼란에 빠지게 된다.
우리는 사랑을 표현하고 있는데, 상대방에게는 외국어로 들리기 때문에
그 의미가 전달되지 못하는 데 근본적인 문제가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 이 책의 목적이다.
바로 이것이 내가 사랑에 대해서 또 한 권의 책을 쓰고 있는 이유인 것이다.
배우자의 제1의 사랑의 언어를 알고 배우게 되면,
당신은 지속적인 사랑의 결혼 생활을 이끌어 가는 열쇠를 발견할 것이라고 믿는다.
결혼한 후에 사랑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지만, 그 사랑을 지속시키기 위해서
우리는 제2의 사랑의 언어를 배우는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우리는 배우자가 우리의 모국어를 이해하지 못할 때에
우리 자신의 모국어에만 의존해서는 안된다.
우리가 전달하고자 하는 사랑을 상대방이 느끼기를 원한다면
그 사랑을 상대방의 제1의 사랑의 언어로 표현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