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가정

가정폭력의 원인, 유형 및 지원체계

문성식 2014. 1. 22. 05:03


    가정폭력의 원인, 유형 및 지원체계 ★ 1. 가정폭력의 원인 폭력의 원인 (한국가정법률상담소 연구결과(1996)) ‘술 먹고 트집 잡아서’(22.9%) ‘자신의 열등감으로’ (17.5%) ‘순종하지 않으므로’ (14.8%) ‘성격이상’(12.3%), ‘자신의 부정행위가 들켜서’ (9.6%) ‘회사나 밖에서의 스트레스로’( 8.1%) 그 외에, 부정한 행위로, 의처증, 애정상실, 등이 구타이유에 포함 구타남편이 주장하는 폭력의 이유 ‘말을 잘 듣지 않는다(37.7%) ‘자신과 시댁을 무시했다가’(13.6%) ‘남자 일에 참견한다’( 9.6%) ‘잘난 척 한다’(7.8%) ‘부정하다’(6.9%) ★ 2. 가해자 유형 첫째, 지배자(controller)형 이런 남자는 자기가 원하는 것을 항상 얻는 그의 욕망을 성취하기 위해 사람을 이용하는 사람이고, 아내의 행동통제를 고집하는 사람이다. 그래서 그가 지배력을 상실했다고 느낄 때 아내를 학대하게 된다. 둘째, 지배자와 반대로 방어자(defender)형 이런 유형의 남자는 배우자가 자기에게 기대기를 원한다. 그러므로 그는 도덕적 안내자이며, 아내를 보호하고 싶기 때문에 그녀가 독립적으로 되는 것을 두려워한다. 셋째, 승인 추구(approval seeker)형 그는 인정받지 못하는 위협을 느낄 때 아내를 학대한다. 그러나 금방 멈추고 죄책감을 느낀다. 아내를 상담하도록 해주지만 아내가 자기를 떠나리라는 위협을 받거나 실제로 떠나는 상황이 아니고서는 자기는 상담에 참가하지 않는다. 넷째, 합동(incorporation)형 학대자 가운데 가장 위험한 형이다. 일반적으로 약이나 알코올 중독자로서 필사적으로 괴롭힌다. 이런 남자는 자기의 주체성을 구별할 수 없고 매우 질투가 심하며 공격 욕구가 가족이나 친구에 의해서 꺾이지 않으며 배우자를 죽이기까지 한다. ★ 3. 가정폭력의 유형 첫째, 신체적(Physical) 학대의 유형 (a) 신체적으로 상처를 입히거나 시도하는 행위로서 예를 들면, 움켜잡는다, 꼬집는다, 뺨을 때린다, 발길로 찬다, 주먹으로 때린다, 칼로 찌른다, 총으로 쏜다 등의 행위. (b) 건강유지에 필요한 자원을 억제시키는 행위로서, 약품, 치료중단, 휠체어, 음식, 물, 수면, 산소 공급 중단 등의 행위. (c) 강제로 술을 먹이거나 기타 약물 강요 등의 행위. 둘째, 성적(Sexual) 학대의 유형 (a) 상대방의 동의 없이 성관계를 강요 또는 시도하는 행위로서 예를 들면, 배우자 강간, 친지 강간, 구타 후 성폭행, 타인과 성행위 강요, 음란물 사용 등의 행위. (b) 피해자의 성에 상처를 주겠다고 시도하는 행위로서 예를 들면, 상대방의 성적인 면을 훼손시키는 행위나 바람직한 성행위에 대한 비난, 작은 부정한 행위, 성을 억제시키는 행위. 셋째, 정신적(Psychological) 학대의 유형 (a) 점진적으로 공포를 주거나 시도하는 행위로서 예를 들면, 신체적인 상처를 입히겠다고 협박, 공포를 주는 일, 아이를 유괴하겠다거나, 위협, 갈취, 괴롭힘, 애완 동물이나 기물 파괴 등의 행위. (b) 피해자를 가족, 친구들, 학교, 직장으로부터 고립 혹은 고립시키겠다고 시도하는 행위로서 예를 들면, 전화나 교통 수단, 피해자의 개인적인 측근자들로부터 억제시키는 행위, 타인에게 피해를 입히는 일, 지속적인 감시, 따라다님, 감금하겠다고 위협하는 행위 등의 행위. 넷째, 정서적(Emotional) 학대의 유형 이 유형은 피해자의 자존감에 상처를 주거나 주겠다고 시도하는 행위로서 예를 들면, 지속적인 비난, 상대방의 능력을 깔보거나 비교하는 행위, 이름을 부르거나 모욕, 비하, 말없이 따돌리고 피해자의 느낌을 농간하고 죄의식을 느끼게 하며, 피해자와 자녀 사이의 유대 관계를 파괴, 지속적으로 약속을 어기는 행위. 다섯째, 경제적(Economical) 학대의 유형 피해자를 경제적으로 의존(부양 받도록)하게 하거나 시도하는 행위로서 예를 들면, 모든 경제, 즉 상대방이 밖에서 벌어들인 수입이나 사회보장 수입까지도 통제하고 억제하는 행위, 학교를 못 가게 하거나, 취직도 못하게 하고, 직업을 방해하거나, 모든 돈 지출을 일일이 보고하게 하고, 가족의 재정에 대한 정보를 억제시키고, 지출해야 될 모든 항목에 대한 책임을 피해자에게 전가시키는 행위 등이다. ★ 4. 가해자의 성장배경과 가정폭력과의 관계 성장기 아이들은 그들의 부모를 보면서 성장한다는 것이다. 아동기때 부모로부터 구타를 당하며 자라거나, 부모간 폭력행위를 관찰하며 자란 아동은 구타자가 되거나 폭력에 무기력한 사람이 된다는 폭력의 악순환적 학습이 다음 시대로 폭력을 전단시킨다는 것이다. (가해자의 성장배경이 폭력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정폭력 가해자의 교육수준, 연령, 직업과 폭력과는 특정한 관계를 갖고 있지는 않다. 그보다 가해자의 성격, 자라온 환경, 부모관계, 습관 등과 연관되는 것으로 보인다. 폭력남편은 어려서부터 폭력가정이나 결손가정에서 성장한 경우가 50-80%나 되며, 특히 아버지가 폭력적이고 어머니가 수동적인 가정 분위기일 때 더 폭력적이게 될 가능성이 크다(김양희, 1998). 이러한 남편들은 비폭력적인 남편에 비해 공격성이 증가하여 폭력을 행사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고한다 ★ 5. 구타하는 남성의 치료 (1) 분노 조절 방법 익히기 (2) 정서적 의존과 질투에서 벗어나기 (3) 자존감 저하와 자기주장 능력 결핍 해결 (4) 전통적 성 역할의 지배적 적용에서 탈피 (gender lag) (5) 치료의 일반적 원칙 a. 학대적인 분노는 인간의 본성에서 유래 b. 학대자는 자신의 폭력에 홀로 책임져야 한다 c. 학대적 행동은 적게 시작될 수도 있지만 결국 모든 관계에 파급 d. 외적 행동은 내적 사고의 결과 e. 폭력적 행동은 자존감 저하와 무력감에서 기인 f. 폭력은 부부가 적절한 갈등 해결능력 갖지 못했을 때 일어난다 (6) 분노 조절 방법 익히기 a. 분노 일지 (날짜와 시간, 사건, 분노수준, 결과, 사고형태) b. 경고신호를 만들 필요가 있다 (“타임 아웃”, “스톱”) c. 분노한 사람은 그 상황에서 자리를 옮겨 사전에 합의한 장소로 간다 d. 분노를 일으키는 인지적 왜곡 바로 잡기 e. 학대적 남편의 세가지 비 합리적 사고타파 (완전통제가 가장 역할이라는 사고, “내가 미쳤나봐요”하며 자신의 성질에 원인 돌림, 혹은 아내가 때리게끔 굴었다) f. 이완 g. 영양 결핍, 수면부족, 운동부족, 약물남용 피하기 ★ 6. 가정폭력 지원체제 (1) 1366 위기전환화 1366은 2001년 1월부터는 여성부의 주관 하에 있게 되었는데, 현재 전국 어디서나 국번없이 무료로 통화가 가능하다. 1366의 설치 목적은 가정폭력피해자, 성폭력피해자, 인신매매, 가출여성, 미혼모 상담 등의 위기에 처한 여성들이 사회적 지원을 받도록 하기 위한 위기 개입 전화 성격의 긴급 전화이다. (2) 가족폭력 상담소 ① 전화나 내방 등 24시간 위기상담을 실시한다. ② 긴급 피해자에 대하여 임시 보호와 안정을 취하게 하고, 의료기관 (신체치료, 신경정신과)이나 피해자 보호시설(쉼터)에 연결하여 인도한다. ③ 가정폭력 행위에 대하여 고소, 고발 등의 법적인 지원을 모색하여 도움을 준다. ④ 가정폭력예방을 위한 캠페인 및 교육을 실시한다. ⑤ 가정폭력 가해자의 폭력 근절과 전반적인 사회폭력 예방을 위해 가해자 교정프로그램을 실시한다. (3) 가정폭력 피해자 보호시설(여성의 쉼터) 여성의 쉼터는 학대받는 여성들에게 비밀을 보장하며 무료로 숙식을 제공하며, 다양한 치료프로그램으로 피해자의 회복을 돕는다. 또한 여성들이 독립할 수 있도록 직업훈련 등을 받도록 장려하는 것에 설치목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