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 국보 제172호 |
---|---|
명 칭 | 진양군영인정씨묘출토유물(晋陽郡令人鄭氏墓出土遺物) |
분 류 | 유물 / 생활공예/ 토도자공예/ 백자 |
수량/면적 | 3개 |
지정(등록)일 | 1974.07.09 |
소 재 지 | 서울 용산구 한남동 748-18 |
시 대 | 조선시대 |
소유자(소유단체) | 삼성문화재단 |
관리자(관리단체) | 리움미술관 |
경상남도 거창군 북상면에 있는 진양군 영인정씨의 무덤에서 편병·접시·대접·잔·묘지(墓誌) 등 조선백자 10점이 출토되었다. 진양군 영인정씨는 조선 세조 때 언양 현감을 지낸 김윤(金潤)의 어머니로 진양군은 출신지역이고 영인은 4품 벼슬 관리의 부인에게 주는 칭호를 말한다. 편병은 높이 2.17㎝, 밑지름 7.7㎝로 몸통이 둥글고 앞뒤로 납작한 모양이다. 아가리는 밖으로 살짝 벌어졌고, 굽이 좁고 높아 특이하다. 몸통에는 흑색 상감으로 모란과 덩굴무늬를 그려 넣었다. 묘지(墓誌)는 죽은 사람의 이름·신분·행적들을 새겨서 무덤 옆에 묻는 돌로, 이 묘지의 크기는 가로 20.4㎝, 세로 36.6㎝이다. 윗쪽은 연잎이 덮은 모양을 선으로 나타내었고 아랫쪽은 양쪽에 두 줄의 사선을 긋고 그 안에 연꽃을 새겼다. 묘지에는 정씨의 가계·가족상황·사망일시 등 내용을 적었다. 이를 통해 정씨가 1466년에 죽었고, 유물를 만든 시기를 알 수 있게 되었다. 대체로 묘지의 형식은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소장의 선덕 10년명(1435) 청자상감묘지와 동일하며 글씨와 무늬는 흑색 상감으로 나타내고 표면에 미세한 균열이 있는 백자유약을 엷게 입혔다. 이 두 작품은 바탕흙으로 보아 고려 백자의 계통을 이어받은 특이한 모양으로, 경상도 지방의 백자가마에서 제작되었으리라 추정된다. 잔은 순백자로 손잡이가 있으며, 잔 받침도 갖추어져 있다. 조선 전기 백자 중 톱니바퀴 모양의 손잡이는 희귀한 편으로, 무덤에 함께 묻기 위해 만들어진 듯하다. |
'한국의 국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보 제174호 금동 수정 장식 촛대(金銅水晶裝飾燭臺) (0) | 2014.01.01 |
---|---|
국보 제173호 청자철채퇴화점문나한좌상(靑磁鐵彩堆花點文羅漢坐像) (0) | 2014.01.01 |
국보 제171호 청동 은입사 보상당초봉황문합(靑銅銀入絲寶相唐草鳳凰文盒) (0) | 2014.01.01 |
국보 제170호 청화백자 매조죽문호(靑華白磁梅鳥竹文壺) (0) | 2014.01.01 |
국보 제169호 청자 양각 죽절문병(靑磁陽刻竹節文甁) (0) | 2014.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