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명국주설(淵明麴酒說)”이란 게 있다. 옛날 ‘중국의 시인 도연명(陶淵明)이 당시의 정치에 환멸을 느껴 시골로 들어간 후, 오막살이집의 담 밑에 국화를 심어 즐겨 심었으며, 그 이유가 자신이 술을 매우 즐겼으므로, 술 속에 국화를 넣기 위해 또는 술안주로 국화를 먹기 위해 재배한 것’이라는 설이 그것이다. 이 설의 진의는 접어두더라도 국화가 예로부터 술에 이용되어 온 것만은 사실이다. 특히 국화에는 진통작용이 있어 두통, 복통을 가라앉히며 진정, 해열의 목적으로도 쓰인다. 또한 식욕을 증진시키고 건위 정상, 피로회복에도 효과를 나타내며, 오래 복용하면 눈이 밝아지고 건강에 좋다고 한다.
사대부들과 시인들의 완상의 대상이었던 중양절의 세시주
국화는 국화과에 딸린 다년생 풀로서 전세계에 약 200종이 분포되어 있는데, 우리나라에도 수국, 산국, 울릉국화 등의 야생종이 10여종 있으며 개량품종이 매우 많다. 예로부터 불로장수 및 상서로운 영초로써 상용되고 있으며 약용 및 양조용 향료로 쓰여 왔다. [본초강목]에도 국화를 이용한 술은 “두풍을 낮게 하고 이목을 밝게 하며, 위비를 제거하고 백병을 없앤다.”고 수록되어 있을 만큼 국화는 동양 특유의 꽃으로 알려졌으며, 근대에는 유럽에서도 재배량이 급속히 늘어 네덜란드, 벨기에 등지에서는 훌륭한 국화 전시회가 개최되는가 하면, 특히 벨기에서는 국화를 쓴 리큐르도 만들어지고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이미 고려시대에 국화주가 사대부들과 시인들의 완상의 대상이었음을 기록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음력 9월 9일인 중양절의 세시주로 깊게 뿌리내렸음을 알 수 있다. 중양절 은 ‘중구(重九)’라고도 하는데, 9(九)는 양(陽)의 수로 이 양의 수가 겹쳤다는 뜻에서 중양, 중구라고 한다. 따라서 이 날은 양기(陽氣)가 아주 강한 날이라고 여겨 명절로 삼았다. 이날 산에 오르는 등고풍속(登高風俗)이 지금까지도 전해오고 있는데, 양의 극치인 태양에 보다 가까이 감으로써 강한 양기를 받아들이게 되면 사악한 기운으로부터 안녕을 도모할 수 있다고 믿었던 것이다. 또 이날 산에 올라 만산만야 붉게 물든 단풍을 즐겼으며, ‘상국(賞菊)’이라고 하여 주위에 피어 있는 국화를 감상하는 풍속이 있다. 마을에서도 노인들을 모셔 잔치를 크게 베푸는 동시에, 친족끼리 조상에게 시제(時祭)를 지내기도 한다.
이날 민가에서는 시식을 즐겼는데, 찹쌀가루 반죽에 산에서 채취해 온 국화꽃잎을 얹어 화전(花煎)을 부쳐 먹기도 하고, 잘 익은 술에 국화꽃잎을 띄워 만든 국화주를 마셨다. 이때의 산에 핀 들국화는 향기가 매우 강하여 술을 빚기에 적격이었다. 작고 노랗게 핀 들국화는 감미가 있어 감국(甘菊)이라고 하는데, 이 감국을 따서 씻어 말린 다음 베주머니에 담아 술 위에 띄우는가 하면, 고두밥과 누룩을 버무릴 때 직접 넣어 숙성시킨 방법이 이용되었다. 예를 들어, 활짝 핀 국화(감국, 들국화, 황국)을 채취하여 햇볕이나 그늘에 말려서 숙성된 술에 넣는 것인데, 꽃을 고운 보자기에 싸서 술독에 쑤셔 박거나 주머니에 담아 술독의 술 위에 매달아 하루나 이틀 뒤에 꽃을 들어내면 꽃향기가 술에 배어 가향(佳香)의 국화주가 되는 것이다.
이 외에 현재 경남지방의 토속주로 빚어지고 있는 국화주는 침출법을 이용하고 있는데, 백설기에 누룩을 섞어 만든 밑술에 찹쌀 고두밥과 누룩을 섞고 여기에 감국을 비롯 생지황, 구기자 뿌리와 껍질을 달여 만든 침출액을 넣어 발효 숙성시킨 것으로, 가향주라기 보다는 약용약주류에 속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