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 국보 제137호 |
---|---|
명 칭 | 대구 비산동 청동기 일괄(大邱 飛山洞 靑銅器一括) |
분 류 | 유물 / 생활공예/ 금속공예/ 청동용구 |
수량/면적 | 일괄 |
지정(등록)일 | 1971.12.21 |
소 재 지 | 서울 용산구 (리움미술관) |
시 대 | 철기시대 |
소유자(소유단체) | 삼성문화재단 |
관리자(관리단체) | 리움미술관 |
대구시 북부 비산동에 있는 초기 철기 시대 무덤 유적에서 발견된 유물이다. 매장 문화재신고가 되지 않아 정확한 무덤의 형태나 유물의 종류을 파악할 수는 없지만 동검, 칼집 부속구, 투겁창(동모), 꺽창(동과),소뿔모양 동기를 비롯한 유물들이 발견되었다. 동검은 전형적인 세형동검으로 칼 끝이 예리하고 칼몸 끝까지 등날이 세워져 있다. 가운데 마디가 있고 칼자루 끝에는 물새 두 마리가 머리를 돌리고 서로 바라보는 모습을 하고 있다. 동검의 부속품으로 칼자루 장신구, 칼집 부속구, 칼끝 장신구 등이 있는데, 칼자루 장신구는 평면이 은행알처럼 생긴 타원형 장신구이다. 둘레에는 평행선 무늬가 연속해서 새겨져 있다. 칼집 부속구는 청동으로 된 타원형 고리로 목재 칼집을 보강하고 장식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생각된다. 칼끝 장신구는 나무로 된 칼집 끝에 장식한 것이다. 투겁창는 끝에 나무자루를 끼우고 창끝에 달려있는 반원상의 고리에 고정시켜 사용하도록 되어있다. 3점이 출토되었는데, 그 중 길이 67.1㎝의 투겁창은 보기드물게 큰 편에 속한다. 길이 57.2㎝의 것은 몸통이 넓어 광투겁창(광동모)이라고 하며, 옆에 달려있는 고리에 구멍이 뚫려 있지 않은 것으로 보아 실용품이라기 보다는 의기용(儀器用)으로 쓰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나머지 하나는 40.0㎝로 보존상태가 양호하다. 이들 유물은 경주 평리동의 청동 유물과 비슷한 시기의 것으로 추정되며 종류 및 수량으로 보아 여러 기의 무덤에서 출토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물새장식은 철기시대에도 청동기 제작 기술이 쇠퇴하지 않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이다. |
종 목 | 국보 제137-1호 |
---|---|
명 칭 | 검 및 칼집 부속(劍 및 劍鞘附屬) |
분 류 | 유물 / 생활공예/ 금속공예/ 무구 |
수량/면적 | 일괄 |
지정(등록)일 | 1971.12.21 |
소 재 지 | 서울 용산구 한남동 748-18 |
시 대 | |
소유자(소유단체) | 삼성문화재단 |
관리자(관리단체) | 리움미술관 |
대구시 북부 비산동에 있는 초기 철기 시대 무덤 유적에서 나온 유물이다. 동검은 전형적인 세형동검으로 칼 끝이 예리하고 칼몸 끝까지 등날이 세워져 있다. 모양은 가운데 마디가 있고 칼자루 끝에는 물새 두 마리가 머리를 돌리고 서로 바라보는 모습을 하고 있다. 이러한 장식은 전에 평양부근에서 출토된 적이 있는 것으로 북방지역 청동기 문화와의 연관성을 나타내고 있다. 칼자루의 표면은 윤택이 나고 그 밖의 다른 세부 조각이나 장식은 없다. 이외에 부속품으로 칼자루 장신구, 칼집부속구, 칼끝 장신구 등과 기타 파편들이 있다. 칼자루 장신구는 평면이 은행알처럼 생긴 타원형 장신구이다. 둘레에는 평행선무늬가 연속해서 새겨져 있다. 칼집부속구는 청동으로 된 타원형 고리로, 목재 칼집을 보강하고 장식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생각된다. 칼끝 장신구는 길이 3.75㎝, 밑변길이 2.9㎝로 나무로 된 칼집의 끝에 장식한 것이다. 그 외에 칼자루로 생각되는 파편 1점이 있다. 이 동검은 칼과 손잡이 칼끝장식이 별개로 만들어진 점으로 보아 남부지방에서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
종 목 |
국보 제137-2호 |
---|---|
명 칭 | 투겁창 및 꺾창(鉾 및 戈) |
분 류 | 유물 / 생활공예/ 금속공예/ 무구 |
수량/면적 | 일괄 |
지정(등록)일 | 1971.12.21 |
소 재 지 | 경기 용인시(호암미술관) |
시 대 | |
소유자(소유단체) | 삼성문화재단 |
관리자(관리단체) | 호암미술관 |
대구시 북부 비산동에 있는 초기 철기 시대 무덤 유적에서 나온 유물이다. 투겁창(동모)은 창의 일종으로 끝에 나무자루를 끼우고 창 끝에 달려있는 반원형의 고리에 고정시켜 사용하도록 되어있다. 3점이 출토되었는데 하나는 길이 67.1㎝로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투겁창 중에서 가장 큰 편에 속한다. 길이 57.2㎝의 투겁창은 몸통이 넓어 광형투겁창(광형동모)이라 하고 옆에 달려있는 고리에 구멍이 뚫려 있지 않은 것으로 보아, 실용품이라기 보다는 의기용(儀器用)으로 쓰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나머지 하나는 40.0㎝로 보존상태가 양호하다. 일반적으로 출토되는 투겁창은 중국의 것을 본 뜬 것인데 이것은 완전히 한국화된 형태이다. |
'한국의 국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보 제139호 군선도병(群仙圖屛) (0) | 2014.01.01 |
---|---|
국보 제138호 전 고령 금관 및 장신구 일괄(傳 高靈 金冠 및 裝身具一括) (0) | 2014.01.01 |
국보 제136호 금동 용두보당(金銅龍頭寶幢) (0) | 2014.01.01 |
국보 제135호 혜원풍속도(蕙園風俗圖) (0) | 2014.01.01 |
국보 제134호 금동보살삼존입상(金銅菩薩三尊立像) (0) | 2014.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