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때 그시절

그 때 그 시절 생각 나시는지요?

문성식 2011. 5. 18. 01:49

그 때 그 시절 생각 나시는지요?

지난 날들을 생각하면서 보세요.

60년대를 생각케 하는 것들

 

그 때는 왜 그리 종기나 헌데가 많이 났었는지 원... 

그 가운데 붙이는 拔根膏(발근고/노락색의 약)을 검은 고약 가운데 이겨 붙이고

뜨거운 유엔성냥으로 녹여서 착 붙이면 뜨금하다 시원해지는

그 때의 기분이 지금도 엊그제인듯 한데..

 

암튼 이명래 고약이나 고약은 생각 나는데

이 고약은 생각이 날동 말동..   

 

 이것 먹고 큰 것 같음. 아무튼 낯이 익음.

저 아이만 할 때 저 아이 그림이 있는

우유깡통을 보고 만지작 거리며

본 기억이 나는 것 같기도 하네요.

 

아마 조금 더 커선 저 깡통에 뒷면을 못으로 망치질을 해

구멍을 여럿 내고 동내 개천가에 가서 철사줄로 역어

쥐불놀이를 했던 것 같네요.

 

 

거울이 있는 경대에 이렇게 생긴 영양크림 한개쯤은 있었던 듯.

그 냄새가 요즘의 영양크림이라는 것과 냄새가 크게 달라지지 않은 것 같던데..

아무튼 이것도 그 때는 일본식 발음으로 구루무... 

 


 요게 아마도 진로 30도 짜리 처음 나온 진로 소주라지요.

왼쪽 것보다는 오른쪽  것이 기억나는듯,,.

왼쪽 라벨도 기억은 나는 것 같은데 아마도 이 소주병들이 이즘부터

참기름 병으로도 대용되기 시작했던 것도 같습니다.

  

 

 사실 이건 50년 대부터 나왔다네요. 

미풍과 미원 경쟁이 많았었지요.

   

 

 이것은 참 빗이라는 건대 다 아시겠지만 그 땐 할머니들이 가운데

가르마를 타고 머리뒤로 비녀들을 많이 꼽았을 때라 어느 집이나

다 있었던 것인데 왠지 그 땐 소중하게 안보였었는지 모르겠습니다.

 

아마 여인들의 물품이었던 것 같아서였나 봅니다.

그러나 이젠 이러한 우리문화를 엿볼 수 있는 것들이

사라져가는 것이 아쉽습니다.

 

동백기름에 참빗으로 단정하게 빗으시던 옛 사람들이 생각납니다.

 

 

 요즘 만화영화 제목에도 나오는 검정 고무신.

내 기억엔 검정신은 우리집에선 못 본 것 같고

흰고무신 남자 것과 여자 것은 보았지요.

 

예전엔 한복들을 많이 입었으니까요.

기술이 좋와져 여성 고무신은 가격에 따라 좋은 것도 많이 나왔던 것 같은데

항상 뾰족한 코가 나온 것을 보면 어린 마음에도 우리 신발은 아마

옛날부터 이렇게 앞이 톡 튀어 나왔겠구나 하는 생각을 했던 기억이 납니다.

 

그리곤 곧 버선을 집에서 어른들이 만드는 것을 보면 버선 코가

뾰족하게 나오게 가위로 오려 두 가닥을 똑같이 만들어

꿰메 버선을 만들어 신어보실 때에도 고무신과 앞코가 같은 모양이라

그때에서야 고무신이 왜 그렇게 생겼는지 이해가 같습니다.

 

그리고 부엌의 부엌칼도 우리의 옛것 모양은 여성고무신이나 버선같이

앞코가 뾰족하게 나온 칼도 무슨 이유가 서로 있지 않겠나

생각도 해 보았습니다. 

 

어�든 버선은 그 앞코가 잘 이쁘게 빠져야 잘 만든

버선이었읍니다 그려...  

 

 그 때에 담배 피우던 어른들은 아마도 기억이 나시겠습니다.

전 어렸으니깐 모르겠는데 백양이라는 담배갑 모양은

길거리에 버려져서 사람들이 밟아 납작하게 돼 버려 빗물에

처량하게 �어있던 걸 본 기억이 나는 것 같기도..

 

암튼 우리집안에는 담배하는 분들이 없었으니

담배는 거리가 있었던 것 같습니다. 

  

은하수는 군에 있을 때 나와서 피워 봤던 것.
한산도하고 같이 나왔었지요 아마...
  
muti007_26430941.jpg
 

 지금에는 볼 수 없는 삼발이 자동차인데 어려서는 연탄공장차나 아니면

삼립빵 차로 기억되는데 다양한 곳에서 쓰여졌겠지만 지금 생각나는 건

삼립빵 삼륜차가 생각나는 것 왜 일까요?

 

그 삼립 크림방이 생각 나내요. 이렇게도 먹다 저렇게도 먹다 나중에는

집안의 석유곤로(난로)위의 뚜껑에 구워먹는 것이 최후의 비법. 

 

군것질.jpg
 

 기억나는 분들 있겠지요.

아이들 때 군것 질. 뽀빠이 딱다구리 등.  이 삼양라면은 그 땐 별식으로

일요일 식구들이 다 모였을 때 별식으로 먹었던 것 같아요.

그 라면 먹는 모습들을 사진으로 찍어뒀던 시절이 생각나기도 합니다.

 

 

 문구점에서 팔던 스티커들인데 그땐 다들 문방구라고 했었지요.

우표를 모은다고 우채국에 가서 시리즈나 명판(우표 한 질에 구석모퉁이에

제조국인 한국조폐공사라고 인쇄된 부분의 4장)이나 문방구에서

돈 주고 사는 이름모를 외국우표묵음들을 종이판에서 뜯어서 파는

것들을  참 많히 사는 유행도 있었지요. 

 

그 때 모았던 우표들이 다 어디갔는지 모르겠네요.

참 많이 모았었는데..-    

 

 기억나죠?  이껌. 이껌 말고도 껌 얘기가 나왔으니 말이지

그 땐 껌도 귀해  먹다가 밤에 자려거든 버리기 아까워 벽지에 붙여놓고

다음날 일어나 다시 씹던 시절도... 애이 더러워라...

 

아이들은 껌종이 모으기가 유행이었을 정도니깐요.

그리고 귀한 껌종이(주로 수입껌 종이)는 껌종이 먹기 놀이에

한장에 몇 장씩을 더 쳐 주었던 기억도 나고...

   

 

 구슬치기.

역시 그 땐 다마치기란 말을 더 많이 �는데

지금 보면 교육이 60년대 이후부턴

우리의 것(말)을 많이 찾았던 것 갔습니다.

 

딱지치기, 딱지접기(둥근딱지 삥둘러 별이 꽉 찬 딱지가 제일 높은 것)등 

또 그 이후에 계급장먹기 놀이 등, 군것질이란 동내 어귀에

설탕뽑기, 달고나(하얀 당원)녹여먹기 등등 그런 것 먹어 가면서

이러한 것들 가지고 놀았던 기억도 납니다.

이 가방은 양쪽 책을 넣게 돼 있고 가운데도 끼워 쓸 수 있게 만든

학생용 가방인데 가방 모퉁이엔 항상 도시락에서 흘러나온 김치국물이나

이런 것들이 묻어있었던 것 같습니다.

 

교과서 한 두권 쯤은 역시 반찬 국물이 묻어 있었죠.

모자는 신입생일 때엔 보이는 것처럼 순수한 처음 그대로의 모양이겠지만

학년이 높아질수록 멋을 부리느라 모표는 보이지도 않게 납작하게 눌러 쓰고

역시 챙은 각지게 오므려 폼 잡아가는 것.  아마도 한 참 멋부리고

싶은 사춘기일테니 누가 말려...

 

 

 이것 또 빼 놓울 수 없지요.

황금색 은박지로 쌓여있던 다이알 비누.

세수할 땐 다이알 비누를 아끼느라

은박지를 절반만 벗겨 비벼서 쓰곤 했지요.

그 땐 아마도 아끼는 게 미덕이었습니다.  

지금도 선진화 된 사회는 오히려 써서 없애는 것이 시장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는 원리이지만 그것도 제동없는 낭비는 결국 사람들의

정신세계가 어려움 몰라 오늘처럼 맹한 사람들로 정신적 경쟁력이 없는

신세대의 국가가 된 원인도 있다 하겠네요.

 

지금 생각나는 건 가나안 농군학교인가?

하는 곳에서 학생들을 정신교육차원의 연수를 했던 것 같은데 가보진

않았지만 학교나 단체별로 교육을 받고 온 사람들로부터 들은 얘기론

이 다이알 비누를 한번 돌려 비빈후 세수를 끝내고,

치약도 뭐 일미리를 짜 준다던가?  하는

 그런 절약정신을 배우고 와 그것이 미덕인양 자랑하고 했던 때였으니

지금 보면 참 딴 세상이지요. 

 

 

 60년대 한일 선풍기.

이 땐 아직 일본사람들이 만든 선풍기 프로펠러가

쇠로 된 것도 많이 남아있었습니다.

 

그때마다 일본인들이 이런 것 만들기는 참 잘 만든다 하면서 몇해를 두고 써도

고장 한 번 안 나게 만드니 그런 걸 우리도 배워야한단 말들을 많이 했었습니다. 

 

그러나 지나고 보니 어느덧 우리풍토는 잘 고장나게 만들어야 또 사게 만들어

잘 팔리게 할 생각만 하는 뉘앙스로 바뀌더군요.

 

물론 한일 선풍기가 그렇다는 건 아닙니다.

사회 전반적 인식이 아직 선진화 되지 않았을 때니깐요.

아마 중국이 요즘 그 단계를 거치고 있나 봅니다. 

 

분유 파동이니 뭐니... 

 한일이 이 때부터 모터산업에 뛰어들었나본데

그 후론 모터는 한일 따라갈 곳 없다 할 정도로 됐던 것 같아요. 

 

TV광고에 서수남 하청일 가수 뚜엣이 나와

"물 걱정을 하지 마세요~ 한일... 한일자동펌프♬~"하고

선전하던 때도 기억나니 말입니다. 

 

다음은 몇 가지 그 시절을 생각케 하는

광고들을 여기저기서 모아 보았습니다.

   

60년대_까스_활명수.jpg
 

 활명수가 먼저 나온 후

나중에 까스활명수가 나온 것 같은데 아닌가요?

잘 기억이 확실치 않네요.  

 

 

 이 때엔 또 판콜A인가, S인가를 감기약으로 먹었던 기억이 납니다.

저에겐 그게 체질에 맞는다나요. 그레서...

66.JPG

 

 이 T.V는 앞에 문이 여닫이로 돼 있어서 학생들 TV만 보지 말고

공부하라고 정해진 시간 외에는 어른들이 자물쇠로 잠가놓은 집도

어느 집에 가보니 있데요.

 

아무튼 우리집은 그런 걸 자율로 했으니 잠가놓진 않았죠~

이것 나오기 전엔 아마도 일제 TV가 있었던 것 같은데

역시 그놈들 것은 잘 고장나지가 않아

아마 80년대 컬러TV가 방영시작할 때까지도

잘 나와 끌고 다녔던 것 같습니다.

컬러TV가 처음 나왔을 때엔 조금 보면

왜 그리 눈이 아른거리고 아팠던지요.

 
소풍갈 때엔 한병씩. 김밥에 찐 계란에 ...
 

 
 물파스가 벌래 물린데 바르란 말은 없지요?
아마도 시대가 지나면서 중간에 생긴 것으로 기억됩니다.
 
 

 그땐 1등이 오백만원 어쩌구 했던 것 같던대..

 

 

 이것도 이것이지만  카라멜 제품도 많이 나왔던 것 갔습니다.

 

 서울 용두동에 동아제약 박카스공장이 있던 것이 생각나내요. 

 

 삼천리표하니 자전거도 생각나지요.

요즘 자전거보다 더 잘 만들었던 것 같은데

요즘 것은 영 그때 삼천리 자전거보단 디자인이나

 여러 면이 뒤떨어지는 것도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드디어 미원 광고도...

 

 로켓트 건전지하니 그때엔 꼬마전구도 생각납니다.

학교에서 배운 것으로 전구실험... 

다 쓴 건전지속에 무엇이 들었나가 궁금해서

못을 대고 망치로 두드려 깨 보았던 기억도 있는데

그 속에 뭐 이상한 검정 석탄과도 비슷한 게 들었던데

 그것이 무언지 알려주는사람이 없던것 같습니다.

 

나중엔 동아출판사에서 나온 동아 전과도 생각나네요.

참고서의 일종인데 뒤에 해답편부터 보기가 일수였죠~

 

 집안의 어떤 사람은 칫솔질하다 자주 턱이 빠져 혼나던 기억도 납니다.

그런데 요즘엔 칫솔질하다 턱빠졌다는 말은 못 들었으니 예나 지금이나

칫솔질은 같은데 그땐 왜들 그랬을까요?  

너무 좋와서 열심이 닦는다는 정성이 앞서 그랬겠나?

지금보니 이해가 안가네...

 

 이 설탕 선물� 깡통이 어느 집이나 하나 둘은 있어 마지막엔 꼭

집안의 바느질 통이나 약통 같은 걸로 쓰기도 했었지요 아마...

 

 이 제품은 지금보면 성공한 제품이죠?

조미료 시장이 무시 못하는 것 같아요.

그 많큼 국민건강에 미치는 영향도 크리라 보니

계속 발전해야할 분야라 봅니다. 

 

 70년대인가?

휴대용 미니 라디오에 밤에 음악방송인

"황인용의 밤을 잊은 그대에게"나

"차인태의 별이 빛나는 밤에"(약칭 별밤)를

귀에 하얀 이어폰을 끼고 들었던 기억이 납니다.

 

988.JPG

가정으로_맥주도_배달하던_시절.JPG

 이것 많이 먹었죠~

 
입으로 불어서 뿌리는 모기약. 계속 불다보면 머리가 어찔어찔.
 

 지금에 와서 보면 다 보잘 것 없이 보이기도 하지만

이런 것들이 지금의 우리 산업의 기초동력들이 된 것이겠지요.

이들 중에 재벌된 사람들도 많을 것이니

아마 되돌아보면 만감이 교차할 것입니다.

 

옛말에 만석지기 밑에 천석지기 나고

천석지기 밑에 백석지기 난다고 하였습니다.

이것들이 다 오늘날의 우리 한국사람들이 만들어 놓은 인업(人業)들이니 

 

오늘의 대기업이 그동안의 단점도 없지 않아 있었겠지만

오늘이 있기까지의 두고 두고 되어온

오늘의 귀중한 인업들을 다들 계승해 더욱 세계를 살릴 수 있는

큰 인업들로 키워 나가는 데 기초가 되었으면 할 텐데...

더 이상 조그만 좌익들의 경거망동으로 인한

이 한국의 인업들을 망쳐 국가가 좋은 토대를

잃어버리지 안았으면 하는 생각이 드네요.

 

이 유엔 성량은 요즘으로 치면 포장지 절약으로

대용량의 벌크형이라고 해야 하나요?

아뭏든 실용적이었던 것 같은데 어려서 가운데

한가치만 뽑아올려 불을 붙여보려는 불장난을 하다

전체에 다 옮겨붙어 혼자서 마음이 크게 놀랐던 기억이 있네요.

집에 아무도 없었길래 망정이지 불날까봐 혼났던 기억이 납니다.

 

'그때 그시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60년대 우리는 이렇게   (0) 2011.05.18
귀한 자료  (0) 2011.05.18
1800년대 후반 조선의 풍물사진  (0) 2011.05.18
박정희 대통령, 5.16혁명에서 10.26서거까지  (0) 2011.05.18
초가삼간  (0) 2011.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