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초, 산나물,식품

◇ 다용처방 (多用 處方) ◇

문성식 2010. 8. 27. 01:21
다용처방

다용처방 (多用 處方)


다용 처방은 다소 어렵게 번역된 부분을 그대로 싣고 차츰 일반인들도 읽기 편하게 해석을 하여 싣기로 하겠습니다.  


1.葛根湯

갈근2,작약,계지1.5,감초구,마황1,강3조2

본 방은 태양·양명합병下痢子와 항배강을 목표로 한 방제이나 일반 풍습·풍열·리질에 널리 활용한다.
방중의 갈근은 퇴열생진지갈·해제독하고 마황·계지는 선폐발한함으로써 한사를 제거하며 작약·감초는 구급을 완할 뿐아니라 영위를 화하여 발표를 도우며 제약을 조화하고 대조는 滋養化胃하니 능히 升散·發透癍하니 척강을 료하고 리질을 치하며 해열하니 널리 활용한다.

2.甘桔湯

길경,감초,형개,방풍,황금,박하,현삼1

본방은 풍열로 인한 인후종통을 치하는데 활용되는 처방이다. 방중의 길경·감초는 인후종통不利를 치하고 방풍·형개는 추풍하며 형개·박하는 청랭발산하고 황금·현삼은 상화를 치한다.

3.甲己湯

백작약4돈,감초구2돈

본방은 일절 복통에 활용되며 작약감초탕이라고도 한다. 백작약과 감초의 단2미로써 그 효가 큼은 백작약의 수렴과 감초의 완화해독이 합하여 지통효과를 높이기 때문이다.

4.桂枝湯

계지,작약3,감초1,강3조2

解肌之方으로 有汗表證에 널리 활용되는 방제로 無汗표증에는 불가용이다.본 방은 和營衛解肌하는 것으로 감기·두통·발열·오풍·발한과다·한랭성복통·건구역·신경통·류마티스 등증에 적용한다 5.藿香正氣散;곽향1.5,소엽1,배지,대복피,백복령,후박,백출,진피,반하,길경,감초자0.5,강3조2 혈병을 제한 일반적 통치방이나 극허자는 불가용이다.

表裏兼治方이라 표증태양상한의 두통·발열·골절통과는 불합하는 것이니 오복차방하면 반대로 정기를 상하게 되어 기가 경락을 역함으로써 한출하여도 해표가 되지 않고 괴증을 발하는 수가 있다.그러나 상한음증이나 신통에 표리를 분별하지 못할 적에 차방을 복용하여 도인경락하면 불치변동하는 이점이 있다. 四時不正之氣는 구비로 쫓아 입하여 장위에 착함으로 和解할 수없으니 방향소도지품으로 화리하고 겸하여 중초를 안하게 하는 등으로 부조한다.이에는 곽향정기산이 적합한 것으로 능히 일절사시부정지기를 치할 수 있는 통용방으로 화해지제이다. 오한·발열·두통·구역·구토·설사·해수·천식·소화불량·흉격번민·暑滯·고혈압·중풍 등증에 쓴다.

6.膠艾四物湯;숙지황,당귀,천궁,백작약,아교주,조금,백출,사인,애엽,향부자1,미1 본방은 부인경병 태루복통에 상용되는 처방이다. 방중의 사물탕은 보혈 조혈의 효가 있으니 一切經病을 치하며 아교·애엽은 보혈·지혈의 공이 있고 향부자·백작약은 지통의 효가 있을 뿐아니라 諸經을 行케하며 백출·조금·사인은 안태의 공이 크며 백출·사인은 건비화위한다.

7.灸甘草湯;감초구2,계지1.5,인삼1,생지황1.5,아교주1,맥문동1.5,마자인1.5,강3조2
본방은 혈기가 허약하여 서로 연결되지 못하여 심이 동계하거나 맥이 결대한데 활용하는 방제이다.
8.芎歸湯;천궁,당귀5
본방은 부과요약으로 산전·산후諸疾과 일반출혈·빈혈에 널리 활용되는 처방이다. 방중의 당귀는 祛瘀血·和血·養血·活血이 능하니 그 頭는 지혈하고 그 身은 보혈하고 그 尾는 파혈하고 全用하면 활혈하여 혈행을 돕는 것으로서 일절풍과 일절기를 치하고 일절勞를 보하며 파어생신한다.또 천궁은 당귀와 합하여 행혈지통하며 제증을 해하고 삼초에 직달하여 음양혈을 통함으로써 기혈을 순하게 한다.

9.芎蘇散;황금,전호,맥문동1,천궁,진피,백작약,백출0.8,소엽0.6,갈근0.5,감초0.3,강3조2
본방은 임부의 상한에 널리 활용되는 처방이다. 방중의 황금·전호는 흉중의 열을 산하며 갈근·소엽은 발표풍한하고 백작약·천궁·감초는 행혈지통하며 백출·황금은 안태하고 맥문동·황금은 청화윤조하고 진피·생강은 止逆氣하며 자소·총백은 발한해표하니 상풍상한이 自愈한다.

10.歸脾湯;당귀,용안육,산조인초,원지,인삼,황기,백출,백복신1,목향0.5,감초0.3,강3조2
노상심神으로 발하는 일절질병을 치하는 통치방이나 실증에는 부적하다. 본방은 理血歸脾하는 방제로 노심사려나 神기부족으로 발하는 제증을 치하는 것으로 일절상심神한 병에 널리 활용된다. 선천적으로나 후천적으로 허약한 체질자들이나 또는 중병후의 허약체질 과도한 신경과로에 의해서 심계항진·기억력감퇴·불면·소화불량 등증이 수반되고 안면이 창백하면서 빈혈이며 맥은 세약하고 복증은 연약한 경우를 목표로 한다.

11.歸朮破癥湯;향부자1.5,삼릉,봉출,적작약,백작약,당귀미,청피1,오약0.7,홍화,소목,관계0.5
본방은 부인경병 특히 어혈적괴에 응용되는 처방이다.
방중의 삼릉·봉출·소목·홍화는 파어지제로서 복중의 적괴를 소하며 작약·당귀는 보혈과 순혈이수하고 청피와 오약은 파기순기하며 향부자·관계는 해울산한·통12경하고 당귀·백작약은 화혈·지통하며 주로 작약을 助하여 諸經에 직달케한다. 그러나 허약자에게는 진용한다.

12.金水六君煎;숙지황3.5,당귀,반하,백복령2,진피1.5,감초1,백개자0.7,강5
본방은 이진탕의 가미방으로서 음허담성하여 발하는 해수·천급을 치하는 처방이다. 방중의 숙지황과 당귀는 보화보혈하여 養陰益氣하고 백개자는 제담하니 喘咳가 自息한다.

13.當歸補血湯;생건변,백작약,천궁,당귀,편금1,방풍,시호,만형자0.5,형개,고본0.4
본방은 혈허두통을 치하는데 활용되는 처방이다.
방중의 사물탕은 보혈·화혈하고 만형자·고본·방풍·형개는 頭上의 諸風을 散하고 시호·황금은 간담화의 衝上을 除한다.

14.當歸六黃湯;황기2,생지황,숙지황,당귀1,황연,황백,황금0.7
본방은 도한에널리 응용되는 처방이다.
방중의 지황은 랭혈·보음하고 당귀는 보혈·화혈하며 황금·황련은 청열·지한하고 황백은 하초화를 산하며 황기는 고표하니 음허·허열·도한이 自止한다.

15.當歸芍藥湯;백작약,백출1.5,당귀,백복령,택사,조금1,빈랑,황련,목향,감초0.7
본방은 자리(子痢)를 치하는데 활용되는 처방이다.
방중의 백출·백작약은 보비·수렴·제습하고 백복령·택사는 삼습이수하며 황련·황금은 대·소장의 열을 제하여 止痢하고 빈랑·목향은 후중을 제하며 당귀·백작약은 화혈·산어지통하고 감초는 조화제약하며 백작약과 합하여 복통을 지하고 백출·황금은 안태하니 임신이질이 自癒한다.

16.大承氣湯;대황4,후박,지실,망초2
사하제로 대표적인 방제이다.
본방은 大實大滿하지 않으면 경솔히 투약할 수없다.오용하면 한중·결흉·痞氣의 변이 일어난다.상한양명부증으로 不大便發熱譫語와 自汗出不惡寒·痞滿燥實堅全과 雜病三焦大熱脈沈實한데 사용한다.

17.導痰湯;반하2,남성포,귤피,지각,적복령,감초1,강5
본방은 이진탕에 남성·지각을 가한 것으로 담을 도인하는 처방이다.
무슨 병이고 경락의 담으로 인한다고 볼 수 있는 제증에 광범위하게 응용된다. 방중의 반하는 습담을 제하고 복령은 수음을 리하며 남성은 풍담을 거하며 진피·지각은 행기·행담하며 역기를 하하고 흉격을 리하며 흉중열을 산하며 생강은 화위·행담하고 감초는 제약을 조화한다.

18.麻杏甘石湯;마황1.5,행인,감초1,석고3
본방은 천수·천식을 치하는데 활용되는 처방이다.
본방의 석고는 胃火를 제하고 마황은 宣通肺氣하며 행인은 直達肺部하여 發泄肺鬱하고 감초는 완화급박하며 제약을 조화한다.

19.麻黃湯;마황3,계지1,행인2,감초0.5
宣肺之方으로 無汗표증에 널리 활용되는 방제로 有汗표증에는 불가용이다.
상한태양증·사기在表·발열두통·신통·요통·골절통·항배통·오한·오풍·무한이천·맥부이긴·태양양명합병·喘而흉만·효증 등에 사용한다.

20.蟠蔥散;창출,감초1,삼릉,봉출,백복령,청피0.7,정향피,빈랑0.5,현호색,관계,건강0.3,총백1경
본방은 소위 산기에 가장 많이 활용되는 처방으로서 방광·소장·腎氣작용 뿐만아니라 비위가 허랭하고 心腹攻刺가 흉협에 연할 때 그 응용의 목표가 된다. 본방의 창출·복령은 삼수조습·운비하고 감초는 제약을 조화하며 經急止痛하고 삼릉·봉출은 積氣를 파하고 어혈을 소하여 지통하며 빈랑·사인은 이기 소식 행담하고 현호색은 온화혈분하여 지통하며 정향·사인은 煖胃하고 건강·육계는 胃寒을 거하며 청피·사인은 흉협을 리케하고 총백은 경락을 소통한다.

21.防風通聖散;활석1.7,감초1.2,석고,황금,길경0.7,방풍,천궁,당귀,적작약,대황,마황,박하,연교,망초0.45,형개,백출,치자0.35,생강3
일반적 통치방이나 보에 부적함은 물론이거니와 표실리실이 아니면 사용할 수 없으며 本寒에는 불가용이다. 차방은 대체적으로 태양·양명표리혈기약이라고 하겠다.변비에 있어서 오적산은 랭비요 방풍통성산은 열비이다.체질로보면 양성인은 방풍통성산증이 많고 음성인은 오적산증이 많으니 체질과 병증을 잘 분석해야 하는 것으로 이는 임상의 숙련에서 이루어진다.

22.白虎湯;석고5,지모2,감초0.7,갱미반합
허열에는 불가용이나 실열에는 일반적인 통치방이다.
본방은 신열·오열·번열 등의 열증을 해열하는 작용이 있다.이때의 맥상은 부활삭하거나 홍대하면서 구내건조·구갈등증이 있으면서 자각증으로는 신체적열감을 느끼면서 항상 오한이 있고 타각증으로는 환자의 피부에서 열감을 느낄 수있다.그러므로 해열과 생진의 작용이 있다.그리고 감모·폐염·마진·피부병·소양감·기타 전염성 고열성 질환·두통·목통·심번·조광·설황자 대변불통·소변적색 등증이 수반되는 경우에도 쓴다. 본방은 당뇨병의 초기에 구갈·번조가 심하여 물을 다음하는 경우에 지갈의 목적으로 쓴다.

23.補中益氣湯;황기1.5,인삼,백출,감초1,당귀신,진피0.5,승마,시호0.3,강3조2
일반적인 통치방이나 실증에는 부적하다. 본방은 노역모손으로 원기가 상하고 양기가 하함하며 비위가 허쇠하여 후천의 기를 생하지 못하므로 제증을 발하는 것과 음중발열을 치한다.그러므로 일절허증에는 가히 운용할 수있으나 실증에는 부적하다. 본방은 중초의 장기를 보기하는 목적으로 광범위하게 쓰인다.그리고 보제중에서도 왕자격이 되므로 의왕탕이라고도 불린다. 육군자탕과 보중익기탕은 같은 계통의 처방이고 평위산가미와 평진탕과 정리탕은 같은 계통의 처방이다.그러므로 보중익기탕류와 정리탕류로 함축하여 표시할 수있으니 문화생활에 좀 호화로운 생활을 하는 도시인은 보중익기탕을 활용하게 하고 생활고에 얽매이는 도시인등은 정리탕을 상용케한다.

24.肥兒丸;호황련5,사군자4.5,인삼,황련,신곡,맥아,산사육3.5,백출,백복령,감초구3,노회가2.5
본방은 소아의 제감에 활용되는 처방이다.
방중의 인삼·백복령·백출·감초는 사군자탕이니 보기하고 2蓮은 청열·살충하고 신곡·맥아·산사는 소적·소식하고 사군자·호황련·노회는 살감·살충한다.

25.빈蘇散;창출2,향부자,소엽,진피,모과,빈랑,강활,우슬1,감초0.5,총백2,강3
본방은 향소산의 가감방으로 풍습각기에 활용되는 처방이다.
방중의 강활은 풍습을 치하고 빈랑은 이기하고 모과 우슬은 이관절하고 창출은 거습하고 생강·진피·총백은 소리·산한·거담하고 소엽·향부자는 제울을 용하니 각기가 自癒한다.

26.四君子湯;인삼,백출,백복령,감초자1.25,강3조2
보기의 주방으로 기허제증을 치하는 일반적 통치방이니 실증에는 부적하다.
본방은 중기화평한 보기방으로 내상기허로 발하는 원기부족의 제증을 치하는 것으로 그 활용범위가 가장 넓다. 안면과 피부의 부황·모발탈락·식욕감퇴·소화불량·위하수·구토·설사·중풍·유뇨·萎弱性각기·장부의 기능허약 ·심한 피로감·심복창만·장명·빈혈·이완성 체질·소화흡수기능장애·사지무력·언어력경미·맥약·허증성 체질의 치출혈 및 제출혈 등증에도 적용한다.

27.四物安神湯;당귀,백작약,생지황,숙지황,인삼,백출,백복신,산조인,황연,치자,맥문동,죽여0.7,조2미1매1진사5분
본방은 사물탕과 산조인탕 합방의 가미방으로 정신신경질환에 널리 사용되는 처방이다.
방중의 당귀·지황·백작약은 사물탕의 의로서 心中無血을 보하고 황련·치자·맥문동·죽여는 청열하며 산조인·백복신·주사는 收神安魂魄하고 인삼·백출은 보비·보기하여 扶正하고 조와 미는 除煩補精하며 매는 수렴정기한다.

28.四物湯;숙지황,백작약,천궁,당귀1.25
보혈조혈지제로 일반적통치방이나 식적불화엔 부적하다.
본방은 일절 혈허`혈불화로 발하는 제증을 치하는 것으로 일절혈증에 널리 활용된다.
보혈제이면서 혈액순환제로 쓴다.특히 빈혈증과 산후의 출혈과다 그리고 제반 부인병에 성약이다.또한 산후 중풍·월경통·월경불순·자궁출혈·혈액 및 혈관질환·백혈병·빈혈성피부병 등증에 광범위하게 쓴다.

29.三氣飮;숙지황3,두충,우슬,당귀,구기자,백복령,백작약,육계,세신,백지,부자포,감초구1,강3
본방은 풍한습비와 裏後鶴膝風에 활용되는 처방으로서 허증에 많이 쓰는 처방이다. 방중의 숙지황·당귀·백작약은 사물탕의 의로서 보혈하며 백지·두충·우슬·세신은 풍한습을 거하여 요슬의 종통을 제하고 복령은 이습하고 구기자는 보신하여 周痺를 치하고 부자·육계는 제경 혈맥을 통하며 산한하고 감초는 완화하며 화제약미한다.

30.蔘蘇飮;인삼,소엽,전호,반하,건갈,적복령1,진피,지각,길경,감초0.75,강3조2
본방은 감상풍한으로 두통·발열·해수하고 담성·조열하는 것을 치하는데 널리 응용되는 처방이다.
방중의 반하·진피·복령·감초는 이진탕이니 일절담음을 제하며 길경·지각은 흉격을 쾌리하고 반하·생강·진피는 거담소통하며 소엽의 발표해울의 공은 갈근의 해기와 합하여 발한해표하며 반하·전호는 화담강기하고 인삼·대조는 감초와 합하여 부정익기하며 완화하니 상풍·해수·두통이 自息한다.통상으로 인삼을 사삼2전으로 대신하여 사용하고 허인에는 인삼을 그대로 넣어 사용한다.

31.生脈散;맥문동2,인삼,오미자1
본방은 생진하여 생맥하는 처방으로 인삼은 대보원기하고 맥문동은 오미자와 합하여 생진하니 능히 생진·자윤·지갈하며 심열을 거하여 제번하고 윤폐하며 모산한 기를 수하고 지한하니 널리 활용되며 暑月常服한다.

32.犀角消毒飮;우방자4,형개,방풍2,서각1.5,감초1
본방은 단독을 치하며 반진은진에 널리 활용되는 처방이다.
방중의 우방자는 소종정통·산풍습하고 형개·방풍은 거풍하며 서각은 퇴열해독하고 감초는 완화한다.

33.犀角地黃湯;생지황,적작약,서각,목단피1
본방은 상초에 어혈이 있어 변흑하거나 울열로 육혈부지하는데 사용하는 처방이다.
방중의 생지황·적작약은 랭혈·수렴·지혈하고 목단피는 瀉血熱하고 서각은 청열독하니 上血이 自止한다.

34.小柴胡湯;시호3,황금2,인삼,반하1,감초0.5,강3조2
한열왕래·흉협고만을 치하는 방제로 널리 사용한다.
본 방은 일반적으로 얼굴색이나 피부색이 검은 사람들에게 적용되는 경우가 많고 때로는 발열성질환에도 사용한다.이 열상태는 간헐열 혹은 일포조열인데 이 발열이 되기 전에 오한이 생긴다.그리고 흉협부에는 충색압박감을 자각하게 되고 타각적으로는 심하부의 우 또는 좌우늑골궁에서 저항을 느낀다.그외로 구고·인후건조·설태·심번·식욕감퇴·오심·구토 등증이 수반되는 경우를 목표로 한다.본 방을 사용할 환자들의 명치끝이 일반적으로 협소한 경향이 있다.

35.逍遙散;백출,백작약,백복령,시호,당귀,맥문동1,감초,박하0.5,강3
울기로 발하는 일절질병을 치하는 일반적인 통치방이다.
사려하면 기취하고 기결하면 혈체하니 울기는 간비를 모두 상하게하여 혈병과 비병이 생한다. 본방은 부인병의 주방으로 신경질적인 허약체질로서 병세가 하루에도 수십번씩 변화되는 증상에 목표를 세우는 것이 좋다.그리고 월경불순·혈허·오심번열·한열여학·조열·상기·안면홍조·골증등이 초래되는데 환자들이 자신의 병세를 집증하지 못하여 어떻게 아프다고 해야 옳을지 모르겠다고 하는 사람에게 대체로 이 처방이 적용되는 경우가 많다.

36.手점散;초과,현호색,오령지,몰약.각등분
본방은 일절의 심통에 널리 쓰이는 처방이다.
방중 초과는 온중소식하여 식창을 소하고 현호색은 온화혈분하여 지통하고 오령지·몰약은 散瘀定痛하니 혈중기체와 기중혈체로 일어나는 諸種心痛이 自止한다.

37.升麻葛根湯;갈근,백작약,승마,감초1,강3총2
본방은 갈근탕방에서 마황·계지가 승마로 바뀌고 대조가 총으로된 처방으로 공용이 유사한다.
방중의 갈근은 승마와 합하여 제독을 해하고 승양산화하니 제중독을 발산하며 투반하고 백작약은 감초와 합하여 지통하며 감초는 생강과 합하여 화위온위하고 화제약하고 총은 생강과 합하여 화리활혈하며 발표를 부조하니 발반·발진지류와 기타사독·창독을 표로 추축할 때 활용한다.

38.柴平湯;시호,창출2,후박,진피,반하,황금1,인삼,감초0.5,강3조2매1
본방은 何人飮이 대보기혈하여 瘧을 치하는데 반하여 화해로 학을 치하는 처방이다.
방중 소시호탕은 화해지제로 소양경 한열을 치하고 평위산은 식체기실을 치하니 食瘧이 自息한다.
痰瘧에는 평위산을 이진탕으로 換하면 된다.

39.安胎飮;백출2,조금1.5,당귀,백작약,숙지황,축사,진피1,천궁,소엽0.8,감초0.4
본방은 사물탕의 변방으로 조혈하며 백출·조금·축사는 안태하고 백출·사인은 건비화위하고 사인·진피는 開胃祛痰疏利하며 감초는 제약을 조화하니 안태의 主약이 된다.

40.五笭散;택사2.5,적복령,백출,저령1.5,육계0.5
이수이뇨지제의 일반적인 통치방이다.본 방은 맥이 부약하면서 구갈·이뇨감소인 경우의 제질환에도 응용한다. 그리고 발열로 구갈이 있어서 번조하며 물을마시면 토하는 경우에 더욱 좋고 때로는 발열이 없으면서 구갈 번조가 생기는 경우에도 쓴다.

41.烏藥順氣散;마황,진피,오약1.5,천궁,백지,백강잠,지각,길경1,건강0.5,감초0.3,강3조2
본방은 중풍乃일절풍질에 널리 활용되는 처방으로 모든 風疾에 있어서 본방을 선복하여 기도를 소통한 후에 수증치료하면 좋다.

42.五積散;창출2마황,진피1,후박,길경,지각,당귀,건강,백작약,백복령0.8,천궁,백지,반하,계지0.7,감초0.6,생강3,총3
음양표리통치지제로 한적·식적·기적·혈적·담적을 산할 수있으니 명을 오적산이라 한 것이며 峻제가 아닌 화평지제라 일반적인 통치방으로 활용할 수 있는 통치방이다. 해표온중제습지제요 거담소비지방이오 조경지제로 일방 통치다병이나 잡병복방은 원래가 불구전용이니 혈병이 없으면 궁귀가 필요없고 무해수면 지길이 필요없고 유한이면 마황이 필요없으니 임증에 수증증감할 것이며 오직 활법은 변통하는데 있다.
보에는 부적하고 본열에는 불가용이다.

43.溫膽湯;반하,진피,백복령,지실2,죽여1,감초0.5,강5조2
본방은 불면에 활용되는 처방으로 이진탕의 가미방이다.
방중의 이진탕은 일절담음을 치하고 지실·죽여는 청심하기하니 虛煩不床이 自安한다.

44.龍膽瀉肝湯;초용담,시호,택사1,목통,차전자,적복령,생지황,당귀,산치자,황금,감초0.5
본방은 팔정산과 함께 습열을 치하는 방제나 다른 점은 본방이 간담습열인데 반하여 팔정산은 위장습열이 하주하여 방광적열이 된 것을 치함이다. 또 본방은 남녀음부질환을 치료하는데 널리 사용된다.

45.六味地黃丸;숙지황8량,산약,산수유4량,백복령,목단피,택사3량
정혈고갈을 치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통치방이나 濕痰中滯者에게는 부적하다.
본방은 보진음 제백병하는 것으로 선천부족 또는 신기허핍으로 발하는 제증을 치하니 널리 활용된다. 일반적으로 위장의 기능은 좋으면서 설사 또는 구토증은 없고 피로권태·수족궐랭·소변불리 또는 소변을 자주 보는 경우도 있으면서 번열증이 생기고 설은 건조하거나 혹은 윤하면서 유두는 없고 구갈증이 생기나 물은 마시지 않고 복증은 제하부의 연약무력과 둔각을 느끼게 되고 맥상은 일정하지 않게 규하거나 현하며 때로는 미약한 경우가 있는가 하면 삭하는 수도 있다.

46.六㭗湯;향부자,창출,신곡,치자,연교,진피,천궁,적복령,패모,지각,소엽1,감초0.5,강3
본방은 諸鬱火를 開하는데 널리 활용되는 처방이다.
방중의 향부자·소엽은 氣鬱을 解하고 창출·복령은 습울을 제하며 연교·치자는 散火吐氣하여 화울을 제하고 패모·진피는 宣通疎利祛痰하여 담울을 제하며 창출·신곡은 식울을 해하고 지작·천궁은 파기행혈하여 혈울을 해하여 생강은 通滯諸經한다.

47.理脾湯;후박1.5,창출,진피,신곡,맥아,산사육1,건강0.8,사인,감초0.5
본방은 산후상식에 선용되는 처방이다.
방중 창출은 제습·운비하고 진피는 가담화위하고 신곡·맥아·산사는 소식하며 흉격의 포민을 제하며 후박·사인은 온중행기소창하고 건강은 온중하며 제경을 통리하고 감초는 제약을 조화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맥아는 消乳의 憂가 있다하여 제거한다.

48.理陰煎;숙지황5,당귀3,건강2,육계,감초1
일반적 통치방으로 온하고 보하는데 능하나 본열에는 불가용이며 膩滯지성이 有하니 진용해야한다.
차방은 이중탕의 변방으로 비간신허를 온윤하는 처방이다.

49.理中湯;인삼,백출,건강포,감초구1
본방은 비위가 허한하여 위가 부실한 자를 목표로 투여하는 방제이다.
맥은 대체로 침무력하고 사지랭이 선발하는 자가 본방응용의 대상이 되며 허증이 아니면 용약에 진중을 요한다. 방중 인삼은 대보원기하는 강장익기의 성약으로 백출과 합하여 보비하고 건강은 온중하고 12경을 진흥하니 건비조습하는 백출과 합하여 온중건비조습하며 감초는 완화하여 구급을 치하는 동시에 제약을 화한다.

50.二陳湯;반하3,진피,적복령1,감초0.5,생강3
일절담음을 치하는 것으로 일반적통치방이나 虛瘦자에게는 부적하다.
본방은 일절담음으로 발하는 제증을 치하는 것으로 십병구담이라는 말과 같이 제병에 담이 관여하므로 광범위하게 응용할 수있다. 담성으로 인한 위내정수·구토·오심·현운·좌두통·담결통·연하불능·중풍성좌측반신불수·임신구토 등증에 광범위하게 쓴다.

51.益元散;六一散;활석6량,감초1량
산화·소염의 일반적인 통치방이다.활석은 기경질중으로 능히 淸降瀉熱하고 활담하여 통규행수하니 거서지사번갈而행소변하며 감초는 중기를 화하니 능히 산열산화의 양제가 되어 상한중서·표리구열·번조·구갈·소변불통·사리열학·곽란토사·주식독·석림을 치하고 下乳滑胎한다.

52.人蔘養榮湯;백작약2,당귀,인삼,백출,황기,육계,진피,감초구1,숙지황,오미자,방풍0.75,원지0.5,강3조2
본방은 노손·기혈부족에서 초래되는 제증상에서 응용할 수 있는 처방이다.사군사물의 의가 내포하여 보혈보음과 보기하는 공이 있어 제장기의 기능을 촉진시키고 자양익혈하며 황기·방풍은 고표하고 진피·생강은 소통거담하며 오미자는 보폐윤진하고 계피는 온산하며 대조는 補營하고 감초는 화제약하니 능히 養榮補虛하여 일절허증을 치료한다.

53.人蔘養胃湯;창출1.5,진피,후박,반하1.25,적복령,곽향1,인삼,초과,감초구0.5,강3조2매1
본방은 내상에 널리 활용되는 처방이다.
방중의 창출·복령·인삼·감초는 사군자탕에서 백출의 건비를 창출의 운비로 바꾼 것으로 운비제습하나 不傷元氣하고 창출·초과는 瘴氣를 除하며 창출·후박·진피·감초는 평위산이니 食傷氣實을 치하고 초과·곽향은 소식하며 반하·진피·복령·감초는 이진탕이니 담음을 료하고 오매는 安蛔한다.

54.人蔘敗毒散;인삼,시호,전호,강활,독활,지각,길경,천궁,적복령,감초1,박하0.3,강3
본방은 사독감염 및 풍한온열에 광범위하게 활용되는 처방이다.
방중의 강활·독활은 풍습을 료하니 지통의 효가 있으며 시호·전호는 승산제열하고 강기소담하며 한열을 치하고 지각·길경은 흉중을 쾌리케 하고 복령은 삼수제습하며 박하·천궁은 산풍행혈하고 감초는 장위의 기를 온화하며 사독을 소거한다.흔히 인삼을 사삼으로 환하며 형개·방풍을 가하여 쓰는 수가 많다.

55.茵蔯四苓散;인진5,택사2.5,저령,백출,복령1
본방은 사령산에 인진을 가한 처방으로 황달에 널리 활용되는 처방이다.
방중의 인진은 황달의 성약으로 습열을 제하며 백출은 건비조습하고 택사·복령·저령은 삼습이수하여 습열을 소변으로 설하니 황달이 自癒한다.

56.滋陰降火湯;백작약1.3,당귀1.2,숙지황,맥문동,백출1,생지황0.8,진피0.7,지모,황백,감초구0.5,강3조2
본방은 신수를 자하여 간신의 화를 강하하니 자음강화의 대표적 방제로서 음허화동에 널리 활용된다. 도한·오열·해수·담성·객혈·肉瘦 등증 위실자는 복용을 금한다.

57.正理湯;창출1.5,소엽,향부자,지실1,후박,진피,반하,복령0.7,감초0.5,강3
본방은 안위거습 산풍한 除痞의 효를 갖춘 처방으로 가장 활용범위가 넓은 일반적인 통치방이다. 보익엔 부적하며 극허인에는 사용할 수없고 조하거나 본열에는 불합하며 태양상한정증과는 상관이 없어 오복하면 반대로 정기를 상한다.그러나 활용의 묘는 오로지 가감사용하는데 있으니 능히 일절의 병을 치한다. 순외감성인 상한증은 본방의 적합증이 아니고 순내상성에는 소엽이 꼭 필요한 것이 아니며 외감겸내상 및 내상겸외감에는 본방의 가감으로 가하다.하나 대개 외감에는 다소간 내상이 겸하고 내상에는 외감이 다소간 겸하는 것이 많으니 본방의 치료범위가 가장 넓다.
본방은 불환금정기산과 곽향정기산의 변방이다.그러므로 차방은 불환금정기산과 곽향정기산의 치료범위를 가감변통으로 치료해 나갈 수있다.

58.定志丸;백복령,인삼,원지,창포2량
정신신경질환에 널리 응용되는 처방으로 방중 원지·창포는 심신규담을 제하여 심공을 개하고 인삼은 대보원기함으로써 오장의 기능을 항진시키며 백복령은 삼수령심하고 주사는 안혼안백하며 꿀은 자양하고 화제약하며 완만히 흡수케하여 익심강지하니 정신신경의 제질환을 능히 치료할 수있다.

59.調經散;맥문동2,당귀1.5,인삼,반하,백작약,천궁,목단피1,아교주,감초구0.75,오수유,육계0.5,강3
본방은 방명이 제시하듯이 부인의 월경부조에 널리 활용되는 처방으로 일명 천금조경탕·온경탕이라고도 한다. 방중의 당귀·천궁·백작약은 사물탕의 의로서 화혈·조혈하고 맥문동·인삼은 생진하며 당귀·아교는 보혈하고 목단피는 파어통경하며 오수유·육계는 煖자궁하고 육계·생강은 삼초를 온보하여 제경의 울체를 산하고 감초는 화제약한다.

60.地黃飮子;숙지황,파극,산수유,육종용,석과,원지,오미자,백복령,맥문동1,부자포,관계,석창포0.5,박하0.2,강3조2
본방은 오약순기산과 같이 중풍·일절풍담에 많이 활용되는 처방이나 허증이 아니면 사용할 수없다. 본방의 숙지황은 滋腎補血·益髓·진정하며 파극·육종용은 장양·익수·윤장하고 육계·부자는 보명문화하여 그 기능을 촉진시키며 파극·산수유는 일절풍을 산하고 통구규하며 석곡은 보비장근골하고 양음하여 허열을 제하며 원지·창포는 심신규담을 제하고 맥문동·오미자는 보폐생진하여 수원을 자하며 복령은 삼수령심하고 박하·생강은 화위·소통·산풍하며 대조는 화영위하니 정기가 왕성해져 풍질이 자식하고 정신쇠약이 自回한다.

61.蓁교蒼朮湯;진교,조각인,도인1,창출,방풍0.7,황백0.5,당귀초,택사,빈랑0.3,대황0.2
본방은 치질에 많이 활용되는 처방이다.
방중의 진교·조각은 살충·거습하고 창출·택사는 이수제습하고 대황·도인·당귀는 윤조하며 방풍·빈랑은 이기거풍하고 창출·황백은 습열을 제하니 소종·통변·살충의 효가 있어 치질이 자소한다.

62.淸金降火湯;진피,행인1.5,적복령,반하,길경,패모,전호,과루인,황금,석고1,지각0.8,감초0.5,강3
본방은 이진탕의 변방으로 폐화실증에 잘 응용하는 처방이다.
방중의 이진탕은 담음을 제하고 황금·석고는 청화하여 폐위열을 제하고 길경·지각은 쾌격리기하므로 痞氣를 제하며 행인·패모·과루인은 윤담활리하여 천급해수를 완하고 전호·진피는 하기소통화담하니 폐화실열천해에는 공이 크나 허증에는 쓰지 못한다.

63.淸心蓮子飮;연자육2,인삼,황기,적복령1,황금,차전자,맥문동,지골피,감초0.7
본방은 우사억울이나 주색과도로 심화극폐하여 발열번조하고 야정주심한 병증을 발한데 또는 소갈·유정·백충·대하에 널리 응용하는 방제다. 방중의 연자육·맥문동·감초는 심열을 청하고 인삼·황기·연자육은 보비로 폐기를 보조하여 복령·차전자는 삼습으로 방광을 리하여 심하수기를 제하며 지골피·황금은 폐의 허열을 청한다.

64.淸燥湯;황기,백출1.5,황련,창출1,진피,택사0.5,오미자9개,인삼,백복령,승마0.3,당귀신1.3,시호,맥문동0.2,생지황,저령,신곡,황백,감초0.2
본방은 痿증을 치하는데 사용되는 처방이다. 방중 황기·당귀는 당귀보혈탕의 의미로 虛熱痿瘦를 치하고 인삼·복령·백출·감초는 사군자탕으로 보기보비하며 인삼·맥문동·오미자는 생맥산으로 생진하고 택사·저령·백복령·백출은 사령산으로 창출을 득하면 이수제습하며 진피·신곡은 소식제담하고 황백은 청하초열하고 승마·감초는 해제독하니 수습이 제거되고 열독 조독이 거하며 생진하여 痿증이 치료된다.

65.托裏消毒飮;금은화,진피3,황기,천화분2,방풍,당귀,천궁,백지,길경,후박,천산갑,조각자1
본방은 탁리소독의 방으로 옹저 제창에 널리 활용되는 처방이다. 본방중의 금은화·천화분은 청열 해독 소종하고 황기는 탁창생기하 진피는 疎利宣通하고 후박은 血痺死肌를 제하며 방풍은 추풍하고 당귀·천궁은 화혈하며 길경·백지는 배농하고 천산갑·조각자는 발독정통한다.

66.八正散;구맥,대황,목통,편축,활석,치자,차전자,감초,등심1
본방은 방광에 적열되어 소변이 불리한 것을 치하는 대표방으로서 림통·뇨혈·음종 등에 널리 활용되는 방제이다. 방중의 구맥·편축은 어혈을 파하고 열을 사하여 통림케 하며 대황·치자는 삼초장위의 열을 제하고 목통·차전자·등심은 방광·소장의 습열을 제하며 활석으로 이규산결하고 소종하며 감초는 경중동통을 완화한다.

67.平胃散;창출2,진피1.4,후박1,감초0.6,생강3,대조2
내상기실의 일반적인 통치방이니 허증에는 부적하다. 본방은 내상기실로 발하는 제증을 치하는 것으로 위장질환·습담에 널리 활용된다. 소화불량·식욕부진·식후장명·설사·복부팽만·심하비색등증과 맥상과 복증이 과히 쇠약하지 않았을때를 목표로 한다. 그러나 빈혈성이 있으면서 복직근이 이완되어 있는 허증에는 쓰지 말아야 한다.

68.何人飮;하수오0.3~1,인삼0.3~1,당귀0.3,진피0.2량,외강3편
본방은 기혈이 구허하여 학질이 不癒하는데 사용하는 처방이다.
방중의 하수오는 인삼과 합하여 보기익정하고 당귀는 인삼과 합하여 보혈하며 진피·강은 소리·개위거담하니 元氣自回하여 구학이 自息한다.

69.香蘇散;향부자,소엽2,창출1.5,진피1,감초자0.5,강3총2
외감기실의 일반적인 통치방이다. 외감과 식상이 병발되는 경우에 쓴다.맥상은 갈근탕이나 계지탕의 맥상과는 달리 침하다.그리고 설태는 없다.또한 두통·이명·현운 등의 신경증상이 수반되는 경우를 목표로 한다.

70.荊芥蓮膠湯;형개,연교,방풍,당귀,천궁,백작약,시호,황금,지각,치자,백지,길경0.7,감초0.5
본방은 풍열이 상발하여 두상제증을 발한데 사용하는 처방으로 상초풍열·제증에 널리 활용되는 처방이다. 방중 형개·연교·방풍은 산풍열하여 소종하고 당귀·천궁은 화혈·행혈하여 제경의 응혈·기취를 산하며 백작약·백지는 제풍·지통하고 시호·황금·치자는 소양화를 산하며 길경·지각은 흉격을 리케하고 쾌기선통하며 감초는 제약을 화하고 급박을 완하며 제약을 화조한다.

                                                                   홈으로가기http://kherb.com.ne.kr

 

 

 

 

 

출처 :자연의학연구소 원문보기   글쓴이 :

'약초, 산나물,식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 종 나 무  (0) 2010.08.27
토 종 약 초  (0) 2010.08.27
옻의 사용법   (0) 2010.08.27
□ 항암약차 □   (0) 2010.08.27
□ 효능별 약초찾기 □  (0) 2010.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