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 보물 제338호 |
---|---|
소재지 | 서울 용산구 용산동 6가 국립중앙박물관 |
소재지 | 중앙박물관 |
지정일 | 1963.01.21 |
수량 | 1구 |
시대 | 신라 |
소유자 | 국립중앙박물관 |
관리자 | 국립중앙박물관 |
자료출처 및 참조 | 문화재청 |
경상북도 경주시 노동동 금령총에서 발견된 신라시대의 금관. 높이 27㎝, 밑지름 15㎝.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금관의 수하식(垂下飾)에 금제방울이 달려 있어서 금령총이라고 명명하였다.
지금까지 발견된 3구(具)의 금관(金冠) 중에서는 가장 간단한 형식이다. 이 금관에는 내관(內冠)이 없는데 발굴자의 소견에 의하면, 아마도 비단으로 된 모(帽)가 있었던 것 같다고 한다.
외관(外冠)은 대륜(臺輪) 위에 5개의 가지를 붙인 것으로 신라(新羅)시대 관(冠)의 전형적 양식이며 하나의 특징을 이루고 있다. 대륜은 너비 2.7㎝, 지름 약 16.5㎝로 가장 소형에 속한다. 표면에는 아래위에 두 줄씩 점문(點文)이 찍혀 있고 3단으로 원좌(圓座)를 만든 다음 금줄로 원형 영락(瓔珞)을 상하에 16개씩, 중앙에 15개씩 달았다.
중앙 정면과 그 좌우에 산(山)자형을 4단으로 연결하고 가지 끝에는 보주형(寶珠形)으로 된 가지를 1장의 금판(金板)에서 오려 내고 가장자리에는 대륜에서와 같이 2줄의 점문을 찍었으며 전면(全面)에 36개씩의 원좌(圓座)를 찍은 가운데 원형 영락을 달았다.
이 산자형(山字形) 가지 좌우에는 녹각형(鹿角形) 가지를 붙이고 가장자리에는 점문이 있으며, 각각 23개씩의 원좌(圓座)위에 영락을 달고 있다. 산자형(山字形) 높이 23.95㎝, 녹각형(鹿角形) 높이 25.75㎝이며, 다른 금관(金冠)에서 볼 수 있는 비취(翡翠) 곡옥(曲玉)의 장식이 없다.
외관(外冠)은 대륜(臺輪) 위에 5개의 가지를 붙인 것으로 신라(新羅)시대 관(冠)의 전형적 양식이며 하나의 특징을 이루고 있다. 대륜은 너비 2.7㎝, 지름 약 16.5㎝로 가장 소형에 속한다. 표면에는 아래위에 두 줄씩 점문(點文)이 찍혀 있고 3단으로 원좌(圓座)를 만든 다음 금줄로 원형 영락(瓔珞)을 상하에 16개씩, 중앙에 15개씩 달았다.
중앙 정면과 그 좌우에 산(山)자형을 4단으로 연결하고 가지 끝에는 보주형(寶珠形)으로 된 가지를 1장의 금판(金板)에서 오려 내고 가장자리에는 대륜에서와 같이 2줄의 점문을 찍었으며 전면(全面)에 36개씩의 원좌(圓座)를 찍은 가운데 원형 영락을 달았다.
이 산자형(山字形) 가지 좌우에는 녹각형(鹿角形) 가지를 붙이고 가장자리에는 점문이 있으며, 각각 23개씩의 원좌(圓座)위에 영락을 달고 있다. 산자형(山字形) 높이 23.95㎝, 녹각형(鹿角形) 높이 25.75㎝이며, 다른 금관(金冠)에서 볼 수 있는 비취(翡翠) 곡옥(曲玉)의 장식이 없다.
'한국의 보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물 제340호 철채백화삼엽문매병(鐵彩白畵蔘葉文梅甁) (0) | 2015.07.26 |
---|---|
보물 제339호 서봉총금관(瑞鳳塚金冠) (0) | 2015.07.26 |
보물 제337호 장곡사금동약사여래좌상(長谷寺金銅藥師如來坐像) (0) | 2015.07.26 |
보물 제336호 정지장군환삼(鄭地將軍環衫) (0) | 2015.07.26 |
보물 제335호 석조여래좌상(石造如來坐像) (0) | 2015.07.26 |